학술논문
문항반응이론을 활용한 한국어능력시험의 문항 양호도 분석
이용수 21
- 영문명
- A study of analyzing the quality of items on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using item response theory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장은아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5권 4호, 219~24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quality of items on the 28th through 32nd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using item response theory. Item Response Theory is invariable and insusceptible to the subject and test tool, not of the classical Test Theory that has been generally used in analyzing the difficulty or discrimination of items. The study found that there existed test items that were at an extremely high level or low level of difficulty, and their distribution was not constant amongst different tests and levels. Even in terms of item discrimination, it was found that there existed test items with little or low level of discrimination.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the difficulty level in certain types of test items from intermediate-level listening and some free-response test items from intermediate-to-advanced level writing, was either too high or low, and their discrimination level was found to be low. Therefore, measures to raise the quality of those relevant items must be sought out, and a new check on the rubric for making and grading the test questions is deemed necessary especially for the free-response writing questions. TOPIK is scheduled to be reshuffled and implemented with the new system starting from the year 2014. Tests will be implemented six times on a yearly basis.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tests annually, chances are high that securing the quality of test items will become even more difficult. To tackle this problem, a conversion from the existing method of making test items to the item bank method using item response theory is inevitable.
목차
1. 서론
2. 문항 분석
3. 분석 자료 및 분석 방법
4. 한국어능력시험의 문항 양호도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발음 숙달도와 발음 학습 전략 사용 간의 관계 연구
- 한국어 말하기 능력 구인 설정을 위한 기초 연구
- 상호작용능력 신장을 위한 한국어 통합 교재의 말하기 활동 연구
- 언어학습자문학이 읽기 이해 및 어휘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
- 문항반응이론을 활용한 한국어능력시험의 문항 양호도 분석
- Using Film in the College-level KFL Classroom: Applying Theories and Developing Activities
- 한국어 학습자의 발화에 대한 한국어 교사와 비교사 원어민 간의 평가 차이 연구
- 중국인 L2 학습자들의 한국어 음운변동 적용 어휘의 지각 양상
- KFL Students’ Perceptions of Assessment, Feedback and Categories
- 외국인 대학생들의 한국어 유의어에 대한 인식 조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