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언어학습자문학이 읽기 이해 및 어휘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7
- 영문명
- The effects of Language Learner Literature on reading comprehension and vocabulary learning of Korean language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유민애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5권 4호, 77~10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students can improve their reading comprehension and vocabulary in Korean by comprehensible input modification. To meet the goal, language learner literature was made and experiment has been run four times from May 7 to June 8;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itially,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is possible by using language learner literature. While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had been taken place just 10 times(2.0%) among the control group during reading process, the experimental group had made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40 times(8.0%). Therefore language learner literature had a positive impact on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Secondly, it is possible to acquire foreign language learning by using language learner literature as comprehensible input(i+1) mechanism. At the beginning, the language level of the controlled group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the experimental group with a difference of 34 words; however, at the end, their score was narrowed down to 2.8 points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봄밤> vocabulary list and summary as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36 and the control group scored 44. Thus, this study emphasized the language learner literature as one of the ways to pursue the integration of language and literature.
목차
1. 서론
2. 제2언어 학습자를 위한 언어학습자문학
3. 연구 방법 및 분석 결과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발음 숙달도와 발음 학습 전략 사용 간의 관계 연구
- 한국어 말하기 능력 구인 설정을 위한 기초 연구
- 상호작용능력 신장을 위한 한국어 통합 교재의 말하기 활동 연구
- 언어학습자문학이 읽기 이해 및 어휘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
- 문항반응이론을 활용한 한국어능력시험의 문항 양호도 분석
- Using Film in the College-level KFL Classroom: Applying Theories and Developing Activities
- 한국어 학습자의 발화에 대한 한국어 교사와 비교사 원어민 간의 평가 차이 연구
- 중국인 L2 학습자들의 한국어 음운변동 적용 어휘의 지각 양상
- KFL Students’ Perceptions of Assessment, Feedback and Categories
- 외국인 대학생들의 한국어 유의어에 대한 인식 조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