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investigation of the differences between novice teachers, experienced teachers and non-teacher native speakers in evaluation of Korean language learners’ speech.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향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5권 4호, 163~18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 is to investigate the scoring patterns in speaking test evaluation amongst novice teachers, experienced teachers and non-teacher natives and to know to what extent the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o this end, ten novice teachers, ten experienced teachers and ten non-teacher natives scored twenty examinee’s responses to a semi-direct speaking test consisting of three tasks using a six-point Likert scale for accuracy (segmental; suprasegmental), fluency(speech rate; pause), vocabulary, grammar, content, consistency/conjunction, comprehensibility, and intelligibility. The analysis of raters’ scores through a multi-facet Rasch measurement model showed distinctive variability between the rating patterns of three groups. Novice teachers scored the most strictly, while the non-teachers scored the most leniently. Furthermore the analysis displayed different rating patterns amongst the three groups on the scoring criteria, the task type and the leaners’ Korean language ability. Such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not only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aters’ scoring processes and to the development of a more valid speaking assessment, but also getting more information which part of speech we have to focus on in teaching speaking. (George Mason University, Korea)
목차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선행 연구
3. 실험 설계와 분석 방법
4. 실험 결과 및 분석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발음 숙달도와 발음 학습 전략 사용 간의 관계 연구
- 한국어 말하기 능력 구인 설정을 위한 기초 연구
- 상호작용능력 신장을 위한 한국어 통합 교재의 말하기 활동 연구
- 언어학습자문학이 읽기 이해 및 어휘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
- 문항반응이론을 활용한 한국어능력시험의 문항 양호도 분석
- Using Film in the College-level KFL Classroom: Applying Theories and Developing Activities
- 한국어 학습자의 발화에 대한 한국어 교사와 비교사 원어민 간의 평가 차이 연구
- 중국인 L2 학습자들의 한국어 음운변동 적용 어휘의 지각 양상
- KFL Students’ Perceptions of Assessment, Feedback and Categories
- 외국인 대학생들의 한국어 유의어에 대한 인식 조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