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관심 단계 연구
이용수 14
- 영문명
- A Study on Korean Language Teacher’s Concerns about Blended Learning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장미라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7권 3호, 289~321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Korean language teacher’s concerns about Blended Learning.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is study was CBAM (Concern-Based Adoption Model) (Hall & Hord 2006). For data collection, SoC(stages of concerns) questionnaires and questioning the perception of teachers were used. The result of the statistical analysis and SoC profile is as follows. First, Korean language teacher’s perception and experience about Blended Learning depend on the location-whether being home-based or abroad. Second, for the perspective of SoC, although Korean language teachers are nonusers, they have shown positivity and interest about blended learning and its information. Third, Korean language teacher’s SoC depended on being in one’s native country or abroad. Fourth, SoC depend on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nationality but do not differ according to the teacher’s major and th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Finally, SoC about Blended Learning depend on the teacher’s perception and experience. Therefore, we need to further discuss about specific ways Korean language teachers can interact online, make use of online lectures and online content for blended learning. (Kyung Hee Cyber University)
목차
1. 서론
2. 관심중심수용모형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외국인 대학생의 요청 담화에서의 적극적 공손 전략 실현 양상 연구
- 비교문화적 화용론의 관점에서 본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사과 화행 연구
- 한국어 유창성 신장을 위한 어휘 사용 전략 연구
- 국내 프랑스인 학습자의 문화적응 전략과 한국어 접촉 양상
- 외국인 유학생의 학술적 글쓰기에서 인용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 한국어 교사의 상호문화 인식 조사 연구
- 고급 한국어 쓰기 학습자를 위한 연결어미 ‘-면’의 교육
-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관심 단계 연구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속독 훈련이 시선고정(fixation)과 도약(saccade)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문학 수업을 위한 학습자 요구 분석
- 인포그래픽스(infographics)의 학습 효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