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속독 훈련이 시선고정(fixation)과 도약(saccade)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9
- 영문명
- Effects of Speed Reading Training for Korean Learners on Fixation and Saccade: Utilizing Eye - tracking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현진 강승혜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7권 3호, 23~4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iscover how speed reading training targeted for advanced Korean leaners affects fixations and saccades during their reading process with utilizing eye-tracking. Subjects for the research were 16 Korean learners from the first semester of level 5, and divided into a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lectures on speed reading training over the course which consisted of a one hour class for eight sessions. After analyzing the changes of the tests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there were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changes between the two groups for the average fixation duration and the average saccade amplitude, but differences were shown for individuals. Moreover, significant personal differences were found on the duration for reading texts between the two groups. This proves that speed reading training is effective, but further discussion is needed for the amount of time necessary for speed reading training. (Ewha Womans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목차
1. 들어가며
2.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고찰
3. 연구 방법과 절차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외국인 대학생의 요청 담화에서의 적극적 공손 전략 실현 양상 연구
- 비교문화적 화용론의 관점에서 본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사과 화행 연구
- 한국어 유창성 신장을 위한 어휘 사용 전략 연구
- 국내 프랑스인 학습자의 문화적응 전략과 한국어 접촉 양상
- 외국인 유학생의 학술적 글쓰기에서 인용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 한국어 교사의 상호문화 인식 조사 연구
- 고급 한국어 쓰기 학습자를 위한 연결어미 ‘-면’의 교육
-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관심 단계 연구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속독 훈련이 시선고정(fixation)과 도약(saccade)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문학 수업을 위한 학습자 요구 분석
- 인포그래픽스(infographics)의 학습 효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