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변이형 적용 연구
이용수 51
- 영문명
- Research on application of the Variations of Internationally circulated Standard Korean Language Curriculum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박진욱 이수미 장미정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9권 1호, 25~5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purposed to discuss and suggest how to apply the internationally circulated standard Korean language curriculum to the fields of education. For this purpose, principles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that use reference of criterions like setting the education goals and stages of the Korean as second foreign language at the Korean foreign secondary school with the cases were reviewed. Studies about the curriculums of Korean language as an unit of state were began at 2010 and being continued in 2017. These researches pointed out a standard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s, evaluations, and textbooks. Korean language teachers need lots of informations how to adjust the curriculums because they recognize that the curriculum as a reference of criteria is very difficult to be utilized. Roles of the reference of criteria that were extracted from the review on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the Korean as a second foreign language are providing a content basis for setting the goals of the curriculum and setting the stages connected with the operation of semesters. After the macroscopic development, plans for the phase of a syllabus run along. At this stage, sources of the items of education should be offered and elaboration of the education contents may design the syllabus. Finally, through a series of process, program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extbook will be completed. Through this whole process, standard curriculum provides orientation and guidelines for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목차
1. 서론
2. 중등학교 제2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의 현황 및 관련 연구
3. 해외 중등학교의 제2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방안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