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anings of ‘-ji anhoel su eops-’ and Their Applica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박진완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30권 4호, 101~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s to conduct a corpus study on the meanings of ‘-ji anhoel su eops-’ and their applica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n analysis of 4,563 examples of ‘-ji anhoel su eops-’ in the “21st Century Sejong Modern Korean Corpora” was conducted.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ji anhoel su eops-’ is used for three meanings [inevitability] (不可避), [obligation] (當爲), and [unavoidable occurrence] (必然發生). The meaning of ‘-ji anhoel su eops-’ can vary depending on the context. Therefore, syntactic, semantic, and discourse analysis, considering the grammatical features, such as person (人稱) and agency (意志), was utilized in this research. Also, the agent’s attitude toward the situation was analyzed, to look into whether each meaning was correlated with positive, negative, or neutral context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When the subject of a sentence is the second person or the third person, ‘-ji anhoel su eops-’ is used to express [inevitability]. 2) When the subject of a sentence is the first person, other meanings can be expressed; If ‘-ji anhoel su eops-’ collocates with emotional verbs, then [unavoidable occurrence] is expressed. And if it collocates with agency verbs, then [obligation] can be expressed only in positive contexts. By contrast, ‘-ji anhoel su eops-’ is widely used to express [inevitability] in negative or neutral contexts. 3) Since these three meanings are realized in stages on a syntactic, semantic, and discourse level, it is helpful to present a checklist explaining the conditions for occurrence of each meaning in grammar class to foreign students.
목차
1. 서론
2. 계량적 분석
3. 의미 기능
4. 문법교육 방안
5. 결론과 과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상매체 관련 한국어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양태 문법 활용 양상
- 한국 화교의 한중 문장내적 코드전환(intrasentential code switching) 양상과 특성
- 한국어 의사소통을 위한 사회문화적 배경 지식의 개념과 구성 요소 설정 연구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부사 ‘꼭’ 교육 연구
- ‘전뇌 학습(Whole-Brain Learning)’을 위한 한국어 교재 과제(Task) 분석 연구
- ‘-지 않을 수 없다’의 의미 분석 및 교육 방안
-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 현대시 읽기 교육 연구
- 쿠바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 학부 유학생 대상 전공 한국어 수업에서의 교사 질문 전략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웅변서적 연구 - 유형별 검토 및 사회적·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