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한국어교육 회화교재 분석 연구
이용수 13
- 영문명
- The Analysis Research of Conversation Book for Korean Language of North Korea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관식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16권 1호, 195~21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4.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eaching material is very important for Forigen language education. It is like that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 and research more are important even from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foreigner. Good teaching material have to equip standardization of proper style and abundant contents.The teaching material which it made with local language and the teaching material which it suitable in studying objective are necessary. Recently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aspect of domestic still is feeble but developmental. Though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esent condition, data and education policy of North Korea which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a different subject does not know well. It is because the political actuality and collection of data are insufficient. This treatise in order to underst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North Korea it analyzed the “North Korean language conversation” and the “North Korean language conversation(II)” it i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eaching material of recent times of North Korea. For that reason the objective of the treatise which it sees magnifies the scope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eaching material research is one thing. In addition the result of the dissertation which it sees help becomes hopes in the Korean language research.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eaching Composition in the Advanced KFL Class: Using Peer Editing Tasks
- 한국어학습을 위한 프레지올러지에 관한 연구 (2)
- 국외 한국어 교육의 발달 과정과 특징 1
-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형 교육의 방향에 대한 일고찰
- 1930년대 구소련 원동지역 한인 초등학교 문법 교재 내용 분석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주요 활동(2005.1-2005.3)
- 북한의 한국어교육 회화교재 분석 연구
-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오류분석의 기준 연구
-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중국 교수 학습자들의 요구 분석 연구
- 한국어능력시험의 개선 방안 연구(Ⅰ)
- 한국어 교사론 21세기 한국어 교사의 자질과 역할
- 학문 목적 한국어를 위한 강의 담화표지 학습 연구
- 한국어 교육용 TV 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