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능력시험의 개선 방안 연구(Ⅰ)
이용수 15
- 영문명
- Suggestions for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Evaluation and Division of Level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숙 최은규 김유정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16권 1호, 77~9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4.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ree factors are equally important for evaluation: validity, reliability, and practicality. Regardless of how high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are, without practicality, use of that evaluation is difficult.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practicality is high, i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are low, that evaluation loses value and becomes meaningless. Therefore, an evaluation is acceptable only when all three aspects are sufficient. With researchers of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this study began with proposals to improve the current six-level evaluation system. In sum, this study raises issues regarding practicality. However, we are not suggesting that validity and reliability be dismissed. Accordingly, suggestions regarding the structure of the TOPIK are based on practicality while the foundation for those suggestions lies in validity and reliability. With a theoretical basis, we analyzed the results of both the actual TOPIK and its mock versions. We offer the following proposals for the TOPIK: compressing the six test levels into three.
목차
1. 서론
2. 외국의 자국어 능력시험의 등급 부여 방식
3. 출제/평가 위원 설문 조사 결과
4. 제8회 한국어능력시험 중복 응시자들의 점수 상관관계
5. 모의시험 결과 분석
6. 한국어능력시험 등급 부여 방안
7.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eaching Composition in the Advanced KFL Class: Using Peer Editing Tasks
- 한국어학습을 위한 프레지올러지에 관한 연구 (2)
- 국외 한국어 교육의 발달 과정과 특징 1
-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형 교육의 방향에 대한 일고찰
- 1930년대 구소련 원동지역 한인 초등학교 문법 교재 내용 분석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주요 활동(2005.1-2005.3)
- 북한의 한국어교육 회화교재 분석 연구
-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오류분석의 기준 연구
-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중국 교수 학습자들의 요구 분석 연구
- 한국어능력시험의 개선 방안 연구(Ⅰ)
- 한국어 교사론 21세기 한국어 교사의 자질과 역할
- 학문 목적 한국어를 위한 강의 담화표지 학습 연구
- 한국어 교육용 TV 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