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대학의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현황 분석
이용수 50
- 영문명
- Analysis on the Present Condition of Teach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 in Domestic Universitie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박석준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19권 3호, 1~3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thesis is trying to discuss about the key elements of the direction and administration for establishment of Curriculum Development in Korean for academic purpose, by examining how Curriculum Development in Korean, which can especially enhance the foreign students' academically aimed Korean ability, is managed in universities. This thesis dealt with three arguments. First, this thesis talked on the concept of teach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 again and reorganized the idea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 as Korean for specific purpose and its pattern and range. Also, this thesis classified Korean for academic purpose at universities into three patterns ; common Korean, Korean for cultural studies, Korean for major field of studies. Second, this thesis examined and analysed how Curriculum Development in Korean is operated at 14 domestic universities after entrance. At most of the universities, Korean language is educated based on common Korean and Korean for cultural studies, but Korean for major field of studies classes were rare. Third, this thesis examined what elements Curriculum Development in Korean for academic purpose need to have as the course after entering domestic universities.
목차
1. 서론
2. 학문 목적 한국어의 개념과 범위 및 하위 유형
3. 국내 대학(원) 과정에서의 입학 후 한국어 교육 과정 운영 현황
4. 대학(원) 과정에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방향 설정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문목적 학습자를 위한 학술 전문어휘 선정 연구
- 국내 대학의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현황 분석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화용 능력 고찰
-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을 찾아서
- 한국어-베트남어 사전에 나타난 한국어 오류 조사
- 국외 한국어 교육 정책론 정립을 위한 탐색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오류 연구
- 한국어 교사의 처우 개선과 극복 과제
- 한국어교육기관 인력평가 도구 개발 연구
- 학습자의 근접발달영역 척도를 활용한 오류수정적 피드백 제공 방안
-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음운 규칙의 제시 순서 연구
- 국제결혼 이주 여성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문화 교육방안 연구
- 중국의 한국어 초급 교재 비교 연구
- 국내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 문학을 활용한 한국문화수업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