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학을 활용한 한국문화수업
이용수 9
- 영문명
- Korean Culture Education through Literary Work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민원정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19권 3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article refers to the method of teaching Korean culture education through literary works, and in this specific case the author deals with The Dreams by Korean female writer Gong Ji-young. Generally, in the language classroom, literature works as a tool for language skill development and/or culture education as a part of language education. In that case, the learners read original texts according to their language levels. But when literature is used in the culture classroom for learners who don't know the language of the original text, the teacher’s role is to develop an efficient method to help them to learn history through literary works and discover and identify cultural differences compared to their own culture. This article shows an example of a Korean culture class using The Dreams at the Pontifical Catholic University of Chile. The students find historical similarities, such as the experience of dictatorship, in Korea and Chile, while discovering the Korean cultural aspects which differ from those in Chile, like Soju, eating anchovies as a side dish accompanied with wine, and military service, etc. They also fi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regarding women in both cultures and even compare them with the work Of love and of shadows by the Chilean writer Isabel Allende. In many ways, Gong Ji-young’s The Dreams is one of the good examples to be included as materials in the Korean culture classroom in the Spanishspeaking world including Chile where the learners have few Korean literary works translated into Spanish and rarely encounter a translated version of a work that deals with Korea’s modern history. This author has found that copy of The Dreams can be as good material for the Korean culture classroom. With it she also reconfirms the importance of continuing efforts to develop Korean culture education methods by defining why, what and how to achieve the multiple purposes of the culture class, and considering the diversity and potential of the students' levels of language and cultural awareness.
목차
1. 서론
2. 한국문화수업에서 문학교육의 개념 및 목표
3. 공지영의 『꿈』 (1993)을 활용한 문화수업의 예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문목적 학습자를 위한 학술 전문어휘 선정 연구
- 국내 대학의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현황 분석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화용 능력 고찰
-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을 찾아서
- 한국어-베트남어 사전에 나타난 한국어 오류 조사
- 국외 한국어 교육 정책론 정립을 위한 탐색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오류 연구
- 한국어 교사의 처우 개선과 극복 과제
- 한국어교육기관 인력평가 도구 개발 연구
- 학습자의 근접발달영역 척도를 활용한 오류수정적 피드백 제공 방안
-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음운 규칙의 제시 순서 연구
- 국제결혼 이주 여성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문화 교육방안 연구
- 중국의 한국어 초급 교재 비교 연구
- 국내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 문학을 활용한 한국문화수업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