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사회적응 스트레스 발생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n Empirical Study of the Social Adjustment stressed of Immigrant Women
발행기관
국제지역학회
저자명
정명희(Myung-Hee Jung)
간행물 정보
『국제지역연구』제15권 제2호, 451~48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 문화적응 스트레스 발생요인에 대해 분석한 것으로 저출산·고령화현상으로 인한 한국의 다문화사회에 이들의 적응상의 문제는 중요한 사회적 문제될 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가족과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문화적응상의 요인을 찾고자 시도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취업 기회 확대를 위한 제도적 개선이 시급하고 결혼이주여성의 가구소득수준과 취업여부에 따라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는 가구소득수준과 취업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결혼이주여성 가족지원 서비스 프로그램을 마련해줌으로써 남편과의 의사소통과 가족의 자국문화 이해 및 수용정도가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계적인 사회복지 서비스 전달을 통한 정착 지원이 필요하며 또한 실질적인 서비스 내용의 질적 수준 향상, 접근성 강화 및 매스미디어 활용, 전담인력 확충, 사후관리 등의 지원이 선행되어야 한다. 넷째, 문화적 차이 극복을 위한 의식전환 기회 제공으로 다문화인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개선이 시급하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이 자국문화와 한국문화 사이에서 문화적으로 배려 받을 수 있으면서, 사회적 관계를 유지해 갈 수 있도록 하는 지원방안이 절실히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he identify of influence in the social adjustment stress on foreign female immigrants in Korea. the study is like followings: First, offering the opportunity of employment will increase social activity of foreign female immigrants in Korea, and it will be helpful for their adaptation in Korean society. Second, the service of supporting family should be provided for settlement of foreign female immigrants in Korea, and proper education for affirmative adaptation of them in all spheres of home life, language, culture and it should be performed through their family. Third, systematic service of social welfare should be offered. The adoption of the system which overcome geographical limitation and can provide the service to needed people is required. In addition, for foreign female immigrants in Korea who cannot receive basic Korean language's education because of geographical limitation, it will be another solution which creates programs about Korean language's education. Finally, for understanding culture shock and keeping social relationship, the plans of supporting foreign female immigrants in Korea are requir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명희(Myung-Hee Jung) . (2011).결혼이주여성의 한국사회적응 스트레스 발생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국제지역연구, 15 (2), 451-481

MLA

정명희(Myung-Hee Jung) .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사회적응 스트레스 발생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국제지역연구, 15.2(2011): 451-4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