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경제의 서비스화와 생산성

이용수  0

영문명
Korea Service Insensity and Economic Growth in Korea Economy
발행기관
국제지역학회
저자명
석준호(Jun-Ho Seok) 김수은(KIMSOOEUN) 김철(Kim,Chul)
간행물 정보
『국제지역연구』제15권 제2호, 125~15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제가 선진화 되면서 나타나는 경제의 서비스화는 일반적으로 생산성 저하 현상을 야기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 그러나 선진국의 경우 경제의 서비스화 현상이 진행되면서 생산성이 오히려 상승하는 Baumol의 역설 현상이 발생하였다. Oulton(1999, 2001)은 이러한 현상의 이유로 하나의 산업에서의 생산이 타 산업으로부터 중간재를 공급받아 생산되는 연쇄과정인 전후방연관효과에서 찾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Oulton(1999, 2001)의 이론을 실증적으로 검증해 볼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더미변수를 이용하여 소비자 서비스와 생산자 서비스의 중간 투입 간의 영향력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위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은행에서 발간되는 산업연관표(1990, 1995, 2000, 2005)의 자료로 멀티레벨모형(Multi-level Model)을 활용하여 이론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Oulton(1999, 2001)의 이론과 같이 한국의 경우에 중간재 생산자 서비스의 투입 비중이 상승하면 다요소생산성(Multifactor Productivity)이 상승하였다. 또한 중간재 생산자 서비스의 비중 변화와 달리 중간재 소비자 서비스의 비중 변화는 다요소생산성에 유의한 영향을 유발하지 않았다. 주요 산업(서비스업, 제조업, 그 외 산업)별로 중간재 생산자 서비스의 비중 변화의 효과 차이를 검증한 결과 제조업이 서비스업과 그 외의 기타산업에 비해 중간재 생산자 서비스의 비중 변화의 효과가 더 작았다.

영문 초록

As the economy grows, there is a concern that the economic development causes a productivity reduction because of the service intensive growth. However, the economy of developed countries encounter with the productivity growth as their economy grows, which phenomenon called Baumol’s paradox. Oulton (1999, 2001) find out the reason of Baumol’s paradox in a forward and backward chain effects. So, this paper is aimed at verifying the theory of Oulton (1999, 2001). Moreover, we test the difference effect between a consumer service and producer service input using a dummy variable. We use the Input-Output Table (1990, 1995, 2000, 2005) that is offered by the Bank of Korea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our research that is represented above. We find out that the Korea’s intermediate producer service inputs cause a multifactor productivity growth. That result is matched with the Oulton (1999, 2001)’s theory. But, the intermediate consumer service inputs don’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 multifactor productivity. The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intermediate producer service inputs among industries shows that the effects on manufacture industries are less than other industries.

목차

Ⅰ. 서론
Ⅱ. 한국 경제의 서비스화 현황과 특징
Ⅲ. 경제의 서비스화와 생산성에 관한 선행 연구
Ⅳ. 연구방법론과 모형
Ⅴ. 실증분석 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석준호(Jun-Ho Seok),김수은(KIMSOOEUN),김철(Kim,Chul) . (2011).한국 경제의 서비스화와 생산성. 국제지역연구, 15 (2), 125-150

MLA

석준호(Jun-Ho Seok),김수은(KIMSOOEUN),김철(Kim,Chul) . "한국 경제의 서비스화와 생산성." 국제지역연구, 15.2(2011): 125-1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