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00년대 일본의 공공투자정책 유효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iveness of Japanese Public Investment in the 2000s: Focusing on the Effects of Stock and Flow from Public capital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황혜영(Hyeyoung Hwang) 이근재(Keunjae Lee) 최병호(Choe, Byeong-Ho)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5권 제2호, 51~7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1975년부터 2006년 사이 일본의 12개 권역별 자료를 이용하여 일본의 공공투자정책의 유효성이 1990년대에 비해 2000년대에 얼마나 개선되었는가에 대해 검토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는 첫째, 2000년대 공공자본에 대한 생산탄력성에 있어서 1990년대보다 상승하였다는 증거는 없으며 오히려 차분 GMM 추정방식 등에서는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공자본은 민간자본의 한계생산성을 대체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향상정도에 있어서는 1990년대에 비해 2000년대에 더 개선되었다고 말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공투자 수행과정에서 민간투자 구축여부에 관한 분석결과에서는 전 기간에 걸쳐 공공투자 수행 시 민간투자를 구축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신고전학파의 주장을 지지하였다. 그리고 2000년대에는 민간투자 구축정도가 더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증분석 결과를 통해 2000년대의 개혁 조치들이 민간투자의 활성화 및 민간경제부문 성과로는 제대로 이어지지 못한 것으로 판단한다.
영문 초록
Since Japanese government took reformative measures of public investment in the period of 2000s,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economic effects of public investments has improved in the period of 2000s. The empirical findings do not show that the output elasticity with respect to public capital has been higher in the 2000s than that of 1990s. Rather, some output elasticity estimates for 2000s has lowered after the advent of year 2000. In addition, the impact of public capital on the productivity of private capital has not improved in the 2000s compared with that of 1990s in Japan. Another major finding shows that the crowding-out effect of public investment has been stronger in the 2000s than before. Those findings imply that the reforms done by Japanese government in the 2000s regarding public investment do not spread out into the private aggregate production and investment.
목차
Ⅰ. 서론
Ⅱ. 2000년대 공공부문 개혁내용 및 투자규모
Ⅲ. 실증분석모형 및 자료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태 패널모형을 이용한 대일 상품수지 결정요인 분석
-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사회적응 스트레스 발생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중국소비자들의 공정성 차원 간 상호관련성에 관한 연구
- 한국기업의 對중국 M&A 및 신설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비교 연구
- 중국 제조업의 친환경공급사슬에 관한 연구
- ARDL-Bounds Test에 의한 요소가격균등화 검정
- 한국 진출 다국적기업 자회사의 지식습득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중국경제의 성장요인과 성장요인별 기여도에 관한 실증연구
- 한국의 생산요소가격 변화가 마크업의 변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1975-2007
- 유통업체 서비스품질이 몰입, 구전의도와 관계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유럽연합(EU) 지역정책의 발전에 관한 일고(一考)
- 2000년대 일본의 공공투자정책 유효성에 관한 연구
- 중국경제의 고용결정요인분석
- Is Arab-Israeli Conflict Terminable?: Analysing Robert Hazo
- The Recent Evidence of Japanese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Focusing on Ownership Structure, Entry Mode, and Location Choices
- 국제개발협력의 인권적 접근과 캐나다 ODA책무법
- 한·중·일 탄소시장 협력 방안
- 한국 경제의 서비스화와 생산성
- FTA체제하에서 환경규정의 제정방안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