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국인 직접투자는 제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이용수 7
- 영문명
- How Does Foreign Direct Investment Affect Unbundled Institution?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서한석(Suh, Hanseok)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5권 제3호, 535~55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FDI를 종속변수가 아닌 설명변수로 삼아 FDI가 제도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춘다. 제도를 Rodrik의 분류방법에 따라 시장조성제도, 시장규제제도, 시장안정화제도 및 시장복지제도 등 4종류로 분류하여 FDI가 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1985~2009년 기간 동안 186개국가의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후진국과 선진국으로 구분하여 제도결정방정식을 추정한다. 고정모형과 FDI의 내생성을 고려한 system GMM을 이용해서 FDI, FDI와 민주주의의 상호관계항이 4종류의 제도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춘다. 추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추정결과 FDI는 4종류의 제도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둘째, FDI와 민주주의의 상호관계항은 시장규제제도를 제외한 나머지 3개 종류의 제도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FDI는 직접적으로 제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민주주의가 발달한 경우에 간접적으로 시장조성제도, 안정화제도와 시장복지제도에 영향을 미친다. FDI가 유치국의 제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긍정적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유치국가의 민주주의발달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Based on the Rodrik's four-way partition of institutions; market creating, market regulatory institution, market stabilizaing and market legitimizing institution, we analyze how FDI and interaction between FDI and democracy affect four kinds of institutions. By using fixed effect and system GMM model we estimat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FDI on institutions within a large panel data set of 186 developing and developed countries for the period 1985–2009. We show that FDI inflows do not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most kinds of institutions while interaction between democracy and FDI inflows have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market creating, market legitimizing and market stabilizing institution. The implication is FDI inflow does not directly lead to change the quality of institution but can indirectly improve it on the condition that democracy of host country become mature.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article to empirically test the FDI and four-way unbundled institutions linkages.
목차
Ⅰ. 서론
Ⅱ. 세계화는 제도에 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Ⅲ. 실증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Permanent and Transitory Factors of the Business Cycle in the NAFTA Region
- EU 국가 소득의 고찰을 통한 소득위험분산과 소비위험분산 간 관계 분석
- 중국 서부지역 외국인직접투자(FDI)의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
- 에콰도르 산업 및 무역정책의 비판적 고찰
- 지식기반경제에 있어 지역경제의 경쟁력 지표와 지역성장의 특성
- 다국적기업의 문화제국주의
- 외국인 직접투자는 제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 감채기금을 이용한 프로젝트 파이낸스의 유용성
- The Study on the International Inclination of Policy Decision in Environmental Problem
- A Study on Economic Effects of NAMA Negotiations in the WTO on Automotive Industry of the World
- G20 국가들의 녹색생산성과 그 결정요인의 비교분석
- 한국의 자연휴양림 유형구분에 관한 연구
- 중국의 지속적 경제발전에 관한 연구
- Technology Transfer and Productivity Growth in the EU New Member States: Role of Trade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 한국경제의 총요소생산성의 순환성에 관한 실증분석(1975-2010)
- 한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 결정요인 분석
- FDI 기술파급효과가 혁신능력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Macroeconomic Linkages between the USA and Japan
- Cross-national study on the effect of forgiveness on relational performance: Business service firms in Korea, Japan, and China
- 다극화시대의 국제통화 결정요인 분석 및 전망
- 중국 주택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 한-중-일 수출입의 대체‧보완성에 관한 실증분석
- 자산시장을 통한 한국경제와 미국경제의 동조화 분석
- The Determinan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the Mining Sector: A Panel Analysis
- 한국 수출중소기업에서 성과, 자원, 차별화 우위의 관계 및 조직 유기성의 조절 효과 연구
- International Linkages in Equity Markets: Evidence from Emerging European Countries
- 중국소비자의 문화성향이 SNSs 구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 다국적기업의 전략적 그린 SCM 구축과 시장성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