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국적기업의 전략적 그린 SCM 구축과 시장성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Strategic GSCM of the Multinational Enterprises and its impact on the Market Performance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김길성(KIM GIL SUNG)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5권 제3호, 513~53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기존 공급망관리에 그린을 강화한 그린 SCM(GSCM)의 주요 활동들이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기업경쟁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먼저 기업 공급망의 다양한 친환경 활동들을 요인분석에 투입한 결과 녹색구매, 녹색생산, 녹색물류, 역물류 등 4개 주요 활동요인으로 각각 분류되었다. 그리고 이들 요인들이 시장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8개의 연구가설을 설정한 후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GSCM 활동과 재무적 성과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한 결과, 녹색구매와 녹색생산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남으로써 연구가설을 지지한다. 반면, 녹색물류와 역물류는 유의수준이 낮아 재무적 성과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비용 절감과 증가 효과가 같이 나타남으로써 통계과정에서 변수의 영향력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일 수도 있다. 한편 GSCM 활동과 기업경쟁력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한 결과, 녹색물류를 제외한 녹색구매, 녹색생산, 역물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남으로써 선행연구와 같이 GSCM 활동이 전반적으로 제품품질, 생산능력, 기업이미지, 고객만족도 등과 같은 기업경쟁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해외시장 의존도가 높은 국내 기업들이 친환경성을 요구하는 고객니즈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면서 지속성장하기 위해서는 녹색물류 등을 포함한 친환경 혁신활동들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한 GSCM을 전략적으로 구축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GSCM) has emerged as a key approach for firms seeking to become sustainable environmentally. GSCM is a system in which the firm takes life cycle responsibility of the products through material recycling, environment-friendly production, and reverse logistics in addition to the classical operations in a supply chain. This paper endeavor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SCM practice implementation and firms' performance among a sample of Korean manufacturing firm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eight hypotheses are put forward. First of all, a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derive groupings of GSCM practice from the survey data which included 54 responses. Then, the first regress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link between GSCM practice implementation and firms' financial performance. The result shows that green purchasing and green production are significant. The second regress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GSCM practice implementation on the firms' competitiveness. The result reveals that green purchasing, green production, and reverse logistics are positively signifiant.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모형 및 가설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Permanent and Transitory Factors of the Business Cycle in the NAFTA Region
- EU 국가 소득의 고찰을 통한 소득위험분산과 소비위험분산 간 관계 분석
- 중국 서부지역 외국인직접투자(FDI)의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
- 에콰도르 산업 및 무역정책의 비판적 고찰
- 지식기반경제에 있어 지역경제의 경쟁력 지표와 지역성장의 특성
- 다국적기업의 문화제국주의
- 외국인 직접투자는 제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 감채기금을 이용한 프로젝트 파이낸스의 유용성
- The Study on the International Inclination of Policy Decision in Environmental Problem
- A Study on Economic Effects of NAMA Negotiations in the WTO on Automotive Industry of the World
- G20 국가들의 녹색생산성과 그 결정요인의 비교분석
- 한국의 자연휴양림 유형구분에 관한 연구
- 중국의 지속적 경제발전에 관한 연구
- Technology Transfer and Productivity Growth in the EU New Member States: Role of Trade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 한국경제의 총요소생산성의 순환성에 관한 실증분석(1975-2010)
- 한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 결정요인 분석
- FDI 기술파급효과가 혁신능력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Macroeconomic Linkages between the USA and Japan
- Cross-national study on the effect of forgiveness on relational performance: Business service firms in Korea, Japan, and China
- 다극화시대의 국제통화 결정요인 분석 및 전망
- 중국 주택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 한-중-일 수출입의 대체‧보완성에 관한 실증분석
- 자산시장을 통한 한국경제와 미국경제의 동조화 분석
- The Determinan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the Mining Sector: A Panel Analysis
- 한국 수출중소기업에서 성과, 자원, 차별화 우위의 관계 및 조직 유기성의 조절 효과 연구
- International Linkages in Equity Markets: Evidence from Emerging European Countries
- 중국소비자의 문화성향이 SNSs 구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 다국적기업의 전략적 그린 SCM 구축과 시장성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