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Permanent and Transitory Factors of the Business Cycle in the NAFTA Region
이용수 0
- 영문명
- NAFTA 지역 경기변동의 영구적 요인과 일시적 요인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김장렬(Jangryoul Kim)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5권 제3호, 55~7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In this paper, we estimate a model that incorporates key features of business cycles, co-movement among economic variables and switching between regimes of expansion and recession, to aggregate quarterly data for the NAFTA region. Two common factors reflecting the permanent and transitory components of the business cycle in the region, along with the turning points from one regime to the other, were extracted from the data by using the Kalman filter and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approach of Kim (1994). Estimation results confirm that a typical aspect of business cycles are also observed (i.e., recessions are steeper and shorter than recoveries) in the region, and that both co-movement and that regime switching are found to be important features of the business cycle. The two common factors produce sensible representations of the trend and cycle, and the estimated turning points are in line with independently determined chronologies. It also turns out that the degree of synchronization between the NAFTA region and Korea, has significantly increased since the entry into force of the NAFTA.
영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지역의 경기변동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경기변동의 전형적 특징인 주요 변수들간의 동조성(co-movement)과 확장/수축기간의 비대칭성을 감안하는 동시에, 경기변동을 초래하는 영구적 요인과 일시적 요인을 모두 포괄하는 모형을 구축하였다. 김창진(1994)이 제시한 칼만 필터에 기반한 근사적 최우추정법을 활용하여 모형을 추정한 후, 추정된 두 요인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NAFTA 지역내 경기변동의 국면이 달라지는 전환점(turning point)을 규명하였다. 추정된 두 요인은 경기변동상의 추세와 사이클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기확장기에 비해 급격하고 짧은 경기수축국면, 변수들간의 동조성, 그리고 확장기와 수축기간의 국면 전환 등 경기변동의 전형적인 모습들이 이 지역내에서도 확인되었다. NAFTA의 발효 이전과 비교하여, 발효 이후에는 경기변동 충격의 변동성과 지속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과 NAFTA 지역 경기변동간의 동조성을 측정한 결과, NAFTA발효 이후에 두 지역 간의 경기변동 동조성이 크게 증가한 결과를 얻었다.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odel Specification
Ⅲ. Data and Results
Ⅳ. Extensions and Applications
Ⅴ. Conclus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Permanent and Transitory Factors of the Business Cycle in the NAFTA Region
- EU 국가 소득의 고찰을 통한 소득위험분산과 소비위험분산 간 관계 분석
- 중국 서부지역 외국인직접투자(FDI)의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
- 에콰도르 산업 및 무역정책의 비판적 고찰
- 지식기반경제에 있어 지역경제의 경쟁력 지표와 지역성장의 특성
- 다국적기업의 문화제국주의
- 외국인 직접투자는 제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 감채기금을 이용한 프로젝트 파이낸스의 유용성
- The Study on the International Inclination of Policy Decision in Environmental Problem
- A Study on Economic Effects of NAMA Negotiations in the WTO on Automotive Industry of the World
- G20 국가들의 녹색생산성과 그 결정요인의 비교분석
- 한국의 자연휴양림 유형구분에 관한 연구
- 중국의 지속적 경제발전에 관한 연구
- Technology Transfer and Productivity Growth in the EU New Member States: Role of Trade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 한국경제의 총요소생산성의 순환성에 관한 실증분석(1975-2010)
- 한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 결정요인 분석
- FDI 기술파급효과가 혁신능력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Macroeconomic Linkages between the USA and Japan
- Cross-national study on the effect of forgiveness on relational performance: Business service firms in Korea, Japan, and China
- 다극화시대의 국제통화 결정요인 분석 및 전망
- 중국 주택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 한-중-일 수출입의 대체‧보완성에 관한 실증분석
- 자산시장을 통한 한국경제와 미국경제의 동조화 분석
- The Determinan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the Mining Sector: A Panel Analysis
- 한국 수출중소기업에서 성과, 자원, 차별화 우위의 관계 및 조직 유기성의 조절 효과 연구
- International Linkages in Equity Markets: Evidence from Emerging European Countries
- 중국소비자의 문화성향이 SNSs 구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 다국적기업의 전략적 그린 SCM 구축과 시장성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