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중-일 수출입의 대체‧보완성에 관한 실증분석

이용수  0

영문명
Empirical Analysis on the Substitutability or Complementary Nature of Export and Import among Korea, China, and Japan
발행기관
국제지역학회
저자명
이현재(Rhee, Hyun-Jae)
간행물 정보
『국제지역연구』제15권 제3호, 215~23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중-일 3국간 무역형태는 각국의 산업구조 변화를 반영하여 무역수지가 고착화되고 또한 상호간 수출입 품목의 우선순위도 조정되어 왔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무역환경을 감안하여 새로운 형태의 무역정책을 수립 및 시행하는 것이 중요한 경제현안으로 부상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공적분추정과 오차수정모형을 활용하여 한국, 중국, 및 일본간 수출입의 대체·보완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려는 시도이다. 실증분석결과에 의하면 한-중-일 3국간 수출입의 경우 단기적으로는 보완관계를 유지하면서 상호간의 수출증대에 기여하는 측면이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한-중-일 3국 모두 대체관계를 형성하고 있어서 상호간의 수출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우리나라 무역정책의 경우 단기적으로는 시장에 의존하는 수출입 정책을 채택해도 무리가 없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중국이나 일본과의 무역에서 대체관계에 따른 수출 감소에 대비할 수 있는 정책을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즉, 한-중-일 3국간 무역에서 단기적으로는 기존의 산업구조를 바탕으로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환율정책이나 무역정책을 중심으로 운용해도 무리가 없겠지만 중장기적으로 무역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산업구조의 개편이나 한-중-일 3국간 FTA 체결 등은 대체관계를 고려해서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aper is basically designed to reveal substitutability or complementary nature of export and import among Korea, China, and Japan by employing unit root test, cointegration technique, and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VECM). Empirical evidences are shown that the trading among these countries has been dominated by a complementary nature in the short run which enables it to promote trading in those countries. In the long run, however, the substitutability nature effects strongly to the trading among Korea, China, and Japan. To this end, it could be tentatively concluded that market-oriented trading policies are more effective to stimulate the export and import in those countries in the short run, while a trading policy has to be selectively implemented by the substitutability nature in the long run basis. For instance, a stability policy for exchange rates and various commercial policies could be set for a short term target. Whereas, the substitutability nature should be counted in building up a new industrial structure or in implementing FTA agreement among Korea, China, and Japa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실증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현재(Rhee, Hyun-Jae) . (2011).한-중-일 수출입의 대체‧보완성에 관한 실증분석. 국제지역연구, 15 (3), 215-237

MLA

이현재(Rhee, Hyun-Jae) . "한-중-일 수출입의 대체‧보완성에 관한 실증분석." 국제지역연구, 15.3(2011): 215-2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