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ative Analysis on the Green Productivity and Its Determinants among G20 Countries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최용록(Yongrok Choi)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5권 제3호, 307~32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세계 각국은 침체에 빠진 경제를 재건해야 하는 동시에 지구온난화로 촉발된 환경문제까지 고려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이 같은 상황에서 기존의 다양한 선행 연구는 생산증가와 환경보호를 동시에 수용하는 녹색 생산성을 정확하게 분석하지 못한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녹색 생산성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고 그 도출 방법을 체계화하였다. 뿐만 아니라 녹색생산성에 대한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 정책변수를 파악하기 위해 1단계 DEA 분석을 통한 생산성 지수를 비교하고, 이에 기초하여 2단계 붓트렙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1단계 실증분석의 결과, 미국, 일본, 유럽연합에 비해 한국의 녹색 생산성 지표는 크게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원인을 찾기 위한 2단계의 회귀분석 결과, 국가총생산, 에너지집약도, 탄소집약도, 자본집약도, 노동집약도의 변수가 정부의 환경오염 감축 노력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위해 요소투입형 생산구조에서 요소의 질적 고도화가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영문 초록
The global economic crisis made most of governments to overcome the economic depression as well as the challenging tasks for global warming. It is not easy political vision to harmonize these two rabbits race, and thus it needs to be developed new paradigm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Unfortunately, the traditional cost-approach based productivity could not resolve this trade-off relation. Therefore, the paper is aimed to develop new approach on the green productivity index with the DEA models in the 1st stage, and then based on these green productivity scores, the paper is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these green productivity in the 2nd stage among the G 20 countries. The empirical result shows that the effect of GDP, carbon intensity, and capital and labor intensity toward the green growth is positive on the green productivity, while the level of government efforts is not significant on the green productivity.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와 연구모형
Ⅲ. 실증분석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U 국가 소득의 고찰을 통한 소득위험분산과 소비위험분산 간 관계 분석
- 감채기금을 이용한 프로젝트 파이낸스의 유용성
- 다극화시대의 국제통화 결정요인 분석 및 전망
- 중국 주택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 자산시장을 통한 한국경제와 미국경제의 동조화 분석
- 한국 수출중소기업에서 성과, 자원, 차별화 우위의 관계 및 조직 유기성의 조절 효과 연구
- International Linkages in Equity Markets: Evidence from Emerging European Countries
- 중국소비자의 문화성향이 SNSs 구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 G20 국가들의 녹색생산성과 그 결정요인의 비교분석
- A Study on Economic Effects of NAMA Negotiations in the WTO on Automotive Industry of the World
- 외국인 직접투자는 제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 Cross-national study on the effect of forgiveness on relational performance: Business service firms in Korea, Japan, and China
- 에콰도르 산업 및 무역정책의 비판적 고찰
- 한-중-일 수출입의 대체‧보완성에 관한 실증분석
- 지식기반경제에 있어 지역경제의 경쟁력 지표와 지역성장의 특성
- A Study on Macroeconomic Linkages between the USA and Japan
- 중국의 지속적 경제발전에 관한 연구
- 한국의 자연휴양림 유형구분에 관한 연구
- Technology Transfer and Productivity Growth in the EU New Member States: Role of Trade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 FDI 기술파급효과가 혁신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Study on the International Inclination of Policy Decision in Environmental Problem
- The Determinan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the Mining Sector: A Panel Analysis
- 중국 서부지역 외국인직접투자(FDI)의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
- 한국경제의 총요소생산성의 순환성에 관한 실증분석(1975-2010)
- 다국적기업의 전략적 그린 SCM 구축과 시장성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 Permanent and Transitory Factors of the Business Cycle in the NAFTA Region
- 다국적기업의 문화제국주의
- 한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 결정요인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NEW
- 농가의 영농 중단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희귀사건 로짓모형 적용
- Examining the Impact of Nitrogen Fertilizer Price Surge and Risk on Import Demand Allocation
-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Environmental Values: How Parental Attitudes Influence Willingness to Pay for Forest Conserv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