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시아 시장에서의 환율과 주가간의 변동성 전이효과
이용수 4
- 영문명
- Volatility Spillover Effects between Exchange Rate and Stock Price in Asian Markets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김민건(Min Gun, Kim) 강상훈(Kang Sang Hoon)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7권 제1호, 173~19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주요 아시아 국가(호주, 홍콩,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한국, 싱가포르)의 주가지수 수익률과 환율 변화율에 대한 가격 및 변동성 전이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변량 VAR-EGARCH 모형을 중심으로 아시아 주식시장과 환율시장 간의 가격전이효과와 변동성 전이효과, 상관관계를 추정하였고, 또한 글로벌 금융위기가 전이효과에 어떠한 변화를 주었는지 알고자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기간을 나누어 결과 값을 추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가격전이효과는 호주, 홍콩, 일본, 한국, 싱가포르에서는 양방향으로, 인도와 인도네시아는 단방향으로 주가지수 수익률이 환율 변화율에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전반적으로 환율이 주가 수익률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그리고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으며 이러한 현상은 더욱 두드러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변동성 전이효과는 환율 변화율과 주가지수 수익률 간에 한국과 싱가포르를 제외하고 양방향으로 전이되어 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금융위기 전후를 비교한 결과, 변동성 전이효과 역시 두 지수의 상호의존성에 많은 변화가 일어났음을 발견하였다. 고정조건부 상관관계 분석에서 호주와 일본의 경우 양(+)의 상관계수를, 홍콩, 인도, 인도네시아, 한국, 싱가포르는 음(-)의 상관계수를 지니고 있었으며 금융위기를 지나며 음(-)의 상관계수를 지닌 국가는 더욱 강한 음(-)의 상관계수로, 양(+)의 상관계수를 지닌 국가는 더욱 강한 양(+)의 상관계수로 변화함을 발견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turn and volatility spillover effects and correlation between the exchange rate and stock price in asian markets(Australia, Hong Kong, India, Indonesia, Japan, Korea, Singapore) using the Bivariate VAR-EGARCH model and CCC metho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turns spillover effects have influenced bi-directionally Australia, Hong Kong, Japan, Korea and Singapore, but directionally India and Indonesia. After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this phenomenon was strongly prominent in the return spillover effect. Second, volatility spillover effects have an effect on countries bi-directionally except for Korea and Singapore. Comparing the empirical results of the pre- and post Global Financial Crisis, it is observed that volatility spillover effects are also a lot of changes in the relation of the exchange rates and equity prices. Finally, countries with a positive correlations are strengthened as positive values. Also, Countries with negative correlations are strengthened as negative one.
목차
І. 서론
II. 선행연구
III. 이변량 VAR-EGARCH모형
IV. 분석자료
V. 실증분석결과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정정책과 환율결정구조에 관한 장단기 분석
- Effects of changes in the role of regional finance on the value added per capita for manufacturing sector.
- 아시아 시장에서의 환율과 주가간의 변동성 전이효과
- Inflation Dynamics in Korea: Estimation of Marginal Costs in Manufacturing Industries (1975-2010)
- 글로벌 기후변화질병의 다국 간 경제적 파급효과
- The Politics of Financial Regulatory Enforcement: A Cross-National Analysis of Insider-Trading Regulations
- 한국에서 조세부담이 기업형태선택에 미치는 효과
- 한국의 개인파산 증가원인 분석
- 중국 자가용 잠재고객들의 구매결정요인에 대한 중요도 인식에 관한 연구
- 한국 해외직접투자의 제3국 공간효과 분석
- 세계 국방비 지출의 결정요인과 경제적 효과
- 중국내 한류가 한국화장품의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