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정정책과 환율결정구조에 관한 장단기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On the Effects of Fiscal Policy and the Determination of Exchange Rates in the Short and Long Run: The Case of Korea, China, and Japan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이현재(Rhee, Hyun-Jae)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7권 제1호, 127~14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중-일 3국의 재정정책이 각국의 환율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공적분추정법에 의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한국에서 확대재정정책을 수행할 경우 국내 화폐시장을 통해 물가 또는 실질이자율이 조정되어 환율을 하락시키는 장단기 경로가 존재하고, 국가간 상호 연관성을 고려할 경우 이 경로가 해외부문으로 전환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중국과 일본의 경우는 해외부문의 단기경로를 통해 환율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양국의 화폐시장이 체계적이지 못해서 이를 통한 우회경로 보다 즉각적으로 총수요에만 반영되어 실물부문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국가간 상호 연관성을 고려할 때 중국의 경우는 해외부문을 통한 장단기 조정경로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일본의 경우도 해외부문을 통해 환율이 조정되며 이 때는 단기 경로만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한-중-일 3국의 경우 재정정책에 따른 외환결정 과정에서 상호 연관성이 높지만, 한국에서만 국내 경제시스템, 즉 화폐시장이 유기적으로 운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중-일 3국간 유기적인 외환결정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중국과 일본에서도 이에 부합하는 경제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aper is basically designed to verify how fiscal policy affects to the determination of exchange rates independently and interrelatedly in Northeast Asian countries by utilizing cointegration methodology. Empirical evidence shows that expansionary fiscal policy in Korea is transmitted to exchange rates through money market both in the short and long run. Accordingly, it resulted in decreasing in exchange rates. Adjusting channel, however, is switched to a foreign sector if it is assumed interrelatedly. When the same policy is effective in China and Japan, the exchange rate increases through the foreign sector in the short run. It is mainly due to the fact that money market in these countries is poorly established, and therefore fiscal shock is instantly passed to a real sector. If it is assumed interrelatedly, China sets up short and long run channels, whereas Japan has a merely short run adjusting process. And, these countries are still hanging around in the foreign sector in both cases. To this end, it could be tentatively concluded that well-established money market in both China and Japan should be setting up to maximize economic fulfillment in Northeast Asian countrie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실증분석
IV.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정정책과 환율결정구조에 관한 장단기 분석
- Effects of changes in the role of regional finance on the value added per capita for manufacturing sector.
- 아시아 시장에서의 환율과 주가간의 변동성 전이효과
- Inflation Dynamics in Korea: Estimation of Marginal Costs in Manufacturing Industries (1975-2010)
- 글로벌 기후변화질병의 다국 간 경제적 파급효과
- The Politics of Financial Regulatory Enforcement: A Cross-National Analysis of Insider-Trading Regulations
- 한국에서 조세부담이 기업형태선택에 미치는 효과
- 한국의 개인파산 증가원인 분석
- 중국 자가용 잠재고객들의 구매결정요인에 대한 중요도 인식에 관한 연구
- 한국 해외직접투자의 제3국 공간효과 분석
- 세계 국방비 지출의 결정요인과 경제적 효과
- 중국내 한류가 한국화장품의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