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Drop Prevention Policies and Projects: Focusing on Policy Improvement Measure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박하나(Park, Hana) 김영지(Kim, Younggi) 서보람(Suh, Borahm)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273~29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중단 예방 정책과 사업이 학교 현장에서 운영되고 있는 현황을 파악하여 정책 개선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학업중단 예방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교의 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575명의 응답을 통해 사업에 대한 학교 구성원 인식, 제도 운영 실태와 어려움, 개선 요구사항 등을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방사업 지정 및 숙려제 운영이 고등학교급에 집중되어 있다. 학업중단 사유가 누적되어 옴을 고려할 때 향후 초·중학교급의 사업 활성화가 필요하다. 둘째, 학교 내 대안교실은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활성화되어 있었고, 초등학교는 상대적으로 적게 활성화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초등학교급에서 대안교실 운영의 어려움을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낙인 및 편견 우려 극복 방안, 고등학교 대안교실의 교육과정 연계 방안 등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업중단 예방 사업의 의의와 필요성은 정서 안정감 제공(4.08점), 쉼의 시공간 제공(4.07점), 학교 적응에 도움(3.94점), 맞춤형 교육 제공(3.92점) 순으로 나타났다(5점 기준). 궁극적으로 학생들이 자신이 처한 상황에 따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기회를 제공하는 방향도 강조할 필요가 있다. 넷째, 제도 운영의 어려움으로 담당자 업무 과중, 맞춤형 지원을 위한 외부기관 연계 필요, 형식적이고 피상적인 업무 절차 등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학교 내 전문상담(교)사 1인 이상 배치, 담당자 인센티브 제공, 교육(지원)청의 외부강사 및 지역사회 기관 연계 지원, 전문성을 갖춘 대안교육 위탁교육기관 발굴 및 확대 등의 정책 개선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for policy improvement by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drop prevention policies and projects being operated at school sites. To achieve this objectiv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school teachers in charge of the nationwide school drop prevention projects. A total of 1,575 people responded to the survey.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chool members’ perceptions of the school drop prevention projects, the current status of business operations, difficulties, and areas for improvement were analyzed as follows. First, the designation of the school drop prevention projects and the operation of the deliberation systems are concentrated at the high school level. Considering the accumulated situations of the academic discontinuation, it is necessary to activate projects in both elementary school and high school level. Second, the operation of alternative classrooms in schools was in the order of middle school (39.8%), elementary school (6.4%), and high school (27.3%).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in operating alternative classrooms in elementary school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way to overcome stigmas and prejudices, and a plan to link the curriculum of alternative classrooms in high schools. Third, the significance and necessity of the study regarding the school drop prevention projects were found in the order of providing emotional stability (4.08 points), providing time and space for rest (4.07 points), helping with school adjustment (3.94 points), and providing customized education (3.92 poi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ograms and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solve problems according to their situation. Fourth, the difficulties of the school drop prevention project were derived from the overload of the person in charge, the lack of connection to external organizations, and formal and superficial work procedur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policies such as assigning one or more professional counselors to schools, providing incentives for those in charge, support from the office of education for linking external instructors with local community organizations, and discovering and expanding entrusted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alternative education with expertise.
목차
Ⅰ. 서 론
Ⅱ. 학업중단 예방 정책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직사회에서의 세대 차이 및 갈등 인식
-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동기의 매개효과
- 학업중단 예방 사업 운영 현황 분석
- 사회과 교과 역량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조사연구
- 고교학점제 선도학교 학생들의 선택과목 수업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COVID-19 비대면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과 경험
-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비실시간 수업환경에서 대학생들의 학습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이민자를 위한 사회통합 프로그램 교재의 한국 사회문화 관련 내용 분석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교기반 국내 성교육 프로그램 연구 동향
- 중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온라인 수업 적응 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 메타경로분석을 이용한 미시체계 내 방어행동 관련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 성인학습자를 위한 실시간 혼합형 수업설계 및 실행전략 개발 연구
- 열린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日本の小・中学校外国語科の連携 : 検定教科書の異文化題材に注目して
- 전후 일본의 초기 사회과의 교과서 분석 : 소학교 6학년 사회과 지리 영역의 ‘우리들의 생활(4) 기후와 생활(私たちの生活(四) 気候と生活)’을 중심으로
- 저출산 고령사회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일본의 고등교육 혁신 방안 : 그랜드디자인 2040 구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