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American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Teaching Virtual Classes During the Era of the Covid-19 Pandemic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신경희(Shin, Kyunghee)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221~24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초등학교 교사들을 중심으로 COVID-19 이후 실시된 온라인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 경험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미국 중서부 M 지역에 있는 VN 초등학교 유치원 교사 2명 그리고 2학년 교사 2명 총 4명을 대상으로 전화 면담을 시행하였다. M 지역은 2020년 3월 COVID-19 감염 확산세를 보이면서 모든 학교 건물이 폐쇄되었다. 이와 동시에 M 지역교육청은 지역 내 모든 학교가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시행하도록 하였다. VN 초등학교 교사들과의 면담 결과 비대면 전환은 COVID-19 봉쇄령 직후 2주간 교육청 수준에서 교사 수준에서 신속하게 이루어졌다. 교육청 차원에서는 교육청에 등록된 모든 학생에게 학교 이메일 계정이 연동된 기자재가 배부되었으며, 교사들은 온라인 수업에 적합한 교육과정 주제 선정과 자료 개발이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빠른 전환 이면에는 팬데믹 상황 이전부터 학교 인터넷망 구축과 크롬북 활용이 수업 시간에 이루어졌으며 교사들이 교육과정 주제 선정에 있어 자율권을 보장받았기 때문으로 여겨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국 비대면 온라인 교육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qualitative study examined American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teaching virtual clas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period.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phone interviews with 2 kindergarten teachers and 2 second grade teachers at VN Elementary School in the M school district which is located in the Midwest of the United States. The M district had a radical increase in COVID cases during March of 2020 so that all of the schools in the area were closed down. The school district had all the schools go with virtual learning through the end of the school year.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hift to the virtual learning was made in an efficient way. The school district sent Chromebooks to all the students and teachers redesigned the curriculum which would be more suitable for the virtual learning environment. This neat process was possible because the students already used Chromebooks in their classrooms and teachers already practiced their own autonomy in choosing curriculum topics and method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er made some suggestions for online education in South Korea.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과 절차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직사회에서의 세대 차이 및 갈등 인식
-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동기의 매개효과
- 학업중단 예방 사업 운영 현황 분석
- 사회과 교과 역량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조사연구
- 고교학점제 선도학교 학생들의 선택과목 수업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COVID-19 비대면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과 경험
-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비실시간 수업환경에서 대학생들의 학습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이민자를 위한 사회통합 프로그램 교재의 한국 사회문화 관련 내용 분석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교기반 국내 성교육 프로그램 연구 동향
- 중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온라인 수업 적응 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 메타경로분석을 이용한 미시체계 내 방어행동 관련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 성인학습자를 위한 실시간 혼합형 수업설계 및 실행전략 개발 연구
- 열린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日本の小・中学校外国語科の連携 : 検定教科書の異文化題材に注目して
- 전후 일본의 초기 사회과의 교과서 분석 : 소학교 6학년 사회과 지리 영역의 ‘우리들의 생활(4) 기후와 생활(私たちの生活(四) 気候と生活)’을 중심으로
- 저출산 고령사회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일본의 고등교육 혁신 방안 : 그랜드디자인 2040 구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