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Design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of Synchronous Blended Learning for Adult Learner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허선영 이현경 김민지 김명선 박한림 김규동 이가영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121~14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실시간 혼합형 수업의 설계 및 실행전략을 제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업을 실시하여 학습자의 반응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설계개발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총 2차례의 전문가 검토를 거쳐 12개의 전략과 44개의 상세지침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전략을 바탕으로 K기관에서 성인학습자 15명을 대상으로 2일 동안 수업을 운영하고, 설문에 참여한 13명의 설문조사 데이터에 대한 기초통계분석을 실시하여 온, 오프라인 학습자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이틀간 진행된 실시간 혼합형 수업에 대해 수업 만족도, 참여모드 만족도, 수업몰입, 인지된 학습결과, 교수실재감, 협력과정 만족도, 그룹조절 측면에서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실시간 혼합형 수업설계 및 실행 시 고려해야 할 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코로나19 시대에 교육기관에서 실시하는 실시간 혼합형 수업의 질적 개선을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and examine learners’ perceptions of synchronous blended learning classes. To this end, this study applied the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 and developed 12 strategies and 44 detailed guidelines. 15 adult learners participated in synchronous blended learning classes for two days and 13 participants’ survey data were collec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learners positively perceived class satisfaction, participation mode satisfaction, flow, perceived learning outcomes, teaching presence, collaborative process satisfaction, and socially shared regulations.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what to consider when designing and implementing synchronous blended learning. Through the study, it is expec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synchronous blended learning conducted by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era of COVID-19.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직사회에서의 세대 차이 및 갈등 인식
-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동기의 매개효과
- 학업중단 예방 사업 운영 현황 분석
- 사회과 교과 역량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조사연구
- 고교학점제 선도학교 학생들의 선택과목 수업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COVID-19 비대면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과 경험
-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비실시간 수업환경에서 대학생들의 학습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이민자를 위한 사회통합 프로그램 교재의 한국 사회문화 관련 내용 분석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교기반 국내 성교육 프로그램 연구 동향
- 중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온라인 수업 적응 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 메타경로분석을 이용한 미시체계 내 방어행동 관련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 성인학습자를 위한 실시간 혼합형 수업설계 및 실행전략 개발 연구
- 열린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日本の小・中学校外国語科の連携 : 検定教科書の異文化題材に注目して
- 전후 일본의 초기 사회과의 교과서 분석 : 소학교 6학년 사회과 지리 영역의 ‘우리들의 생활(4) 기후와 생활(私たちの生活(四) 気候と生活)’을 중심으로
- 저출산 고령사회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일본의 고등교육 혁신 방안 : 그랜드디자인 2040 구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