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Flo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nd Online Class Adaptation of Middle-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조윤진(Jo, Yunjin) 조규판(Cho, Gyupan)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145~16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온라인 수업 적응 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시 소재 중학생 244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및 온라인 수업 적응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들 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주도학습과 학습몰입 및 온라인 수업 적응 간의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자기주도학습과 온라인 수업 적응 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완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는 중학생의 온라인 수업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몰입과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중재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flow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nd online class adaptation of middle-school students. 244 middle-school students in Busan were surveyed us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Scale, Learning Flow Scale and Online Class Adaptation Scal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flow. In conclusion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s, there a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flow and online class adaptation. Learning flow operated as a mediating factor between the self-directed learning and online class adapt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 to improve learning flow and self-directed learning that affect online class adaptation of middle-school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직사회에서의 세대 차이 및 갈등 인식
-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동기의 매개효과
- 학업중단 예방 사업 운영 현황 분석
- 사회과 교과 역량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조사연구
- 고교학점제 선도학교 학생들의 선택과목 수업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COVID-19 비대면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과 경험
-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비실시간 수업환경에서 대학생들의 학습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이민자를 위한 사회통합 프로그램 교재의 한국 사회문화 관련 내용 분석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교기반 국내 성교육 프로그램 연구 동향
- 중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온라인 수업 적응 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 메타경로분석을 이용한 미시체계 내 방어행동 관련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 성인학습자를 위한 실시간 혼합형 수업설계 및 실행전략 개발 연구
- 열린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한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 인식 변화 탐색: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 토픽 모델링 기반 유아교육 분야 인공지능 연구동향 분석
- 유치원 교사의 교육에 대한 이미지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