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교학점제 선도학교 학생들의 선택과목 수업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446

영문명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Regarding Social Studies Related Elective Classes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오세라(Oh, Sera)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163~19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5.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선도학교 학생들의 선택과목 수업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이다. 선택과목 수업경험의 공통적 의미와 사실적 구조를 드러내기 위해 판단중지, 현상학적 환원, 지향적 분석 등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하였다. 고교학점제가 도입되면서 학생들은 ‘양면적 감정 속에서 변화를 받아들이고’ 있었다. 수업참여 ‘동기는 수업과 상호작용’ 하며 수업과정에서 ‘변화’ 하였다. 고교학점제 도입과 함께 진행된 평가의 변화는 ‘수업에 온전히 집중할 수 있는’ 여유를 가져오기도 했지만 ‘능력 발휘에 대한 전략적 힘 조절’을 가능케 하여 하향평준화가 우려되었다. 수업 주체로서 학생들은 ‘자기주도성’을 발휘하고 ‘진로개척’을 경험하였다. 그러나 ‘자기주도성’은 어떤 동기를 가지고 수업에 참여하느냐에 따라 ‘양극화’ 되었다.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선택과목 수업에서 학생들의 경험을 수업의 맥락, 수업의 동기, 수업에서의 평가경험, 수업 주체로서 학생의 변화 차원에서 드러내고 고교학점제 운영에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했다는 것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carried out empirical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the elective class experienced by students who attended a leading high school. The study tried to reveal the factual structures of the ‘elective class experience’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using phenomenological reduction methods.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tudents were "accepting changes while feeling two-sided emotions."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class’ was 'changed' by interactions within the class. ‘Changes in evaluation’ have also brought ‘room to fully focus on classes’, but there is concern about downward leveling by allowing them to ‘strategically use their abilities’. Students demonstrated 'self-direction' and experienced 'career development'. However, 'self-directedness' was polarized according to each student’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cla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what students experience with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elective classes in the context of classes, motivation for classes, evaluation experiences in classes, and students' changes. Moreover, it suggested practical alternatives to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세라(Oh, Sera). (2022).고교학점제 선도학교 학생들의 선택과목 수업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열린교육연구, 30 (3), 163-192

MLA

오세라(Oh, Sera). "고교학점제 선도학교 학생들의 선택과목 수업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열린교육연구, 30.3(2022): 163-1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