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Regarding Social Studies Related Elective Classe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오세라(Oh, Sera)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163~19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선도학교 학생들의 선택과목 수업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이다. 선택과목 수업경험의 공통적 의미와 사실적 구조를 드러내기 위해 판단중지, 현상학적 환원, 지향적 분석 등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하였다. 고교학점제가 도입되면서 학생들은 ‘양면적 감정 속에서 변화를 받아들이고’ 있었다. 수업참여 ‘동기는 수업과 상호작용’ 하며 수업과정에서 ‘변화’ 하였다. 고교학점제 도입과 함께 진행된 평가의 변화는 ‘수업에 온전히 집중할 수 있는’ 여유를 가져오기도 했지만 ‘능력 발휘에 대한 전략적 힘 조절’을 가능케 하여 하향평준화가 우려되었다. 수업 주체로서 학생들은 ‘자기주도성’을 발휘하고 ‘진로개척’을 경험하였다. 그러나 ‘자기주도성’은 어떤 동기를 가지고 수업에 참여하느냐에 따라 ‘양극화’ 되었다.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선택과목 수업에서 학생들의 경험을 수업의 맥락, 수업의 동기, 수업에서의 평가경험, 수업 주체로서 학생의 변화 차원에서 드러내고 고교학점제 운영에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했다는 것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carried out empirical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the elective class experienced by students who attended a leading high school. The study tried to reveal the factual structures of the ‘elective class experience’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using phenomenological reduction methods.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tudents were "accepting changes while feeling two-sided emotions."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class’ was 'changed' by interactions within the class. ‘Changes in evaluation’ have also brought ‘room to fully focus on classes’, but there is concern about downward leveling by allowing them to ‘strategically use their abilities’. Students demonstrated 'self-direction' and experienced 'career development'. However, 'self-directedness' was polarized according to each student’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cla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what students experience with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elective classes in the context of classes, motivation for classes, evaluation experiences in classes, and students' changes. Moreover, it suggested practical alternatives to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직사회에서의 세대 차이 및 갈등 인식
-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동기의 매개효과
- 학업중단 예방 사업 운영 현황 분석
- 사회과 교과 역량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조사연구
- 고교학점제 선도학교 학생들의 선택과목 수업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COVID-19 비대면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과 경험
-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비실시간 수업환경에서 대학생들의 학습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이민자를 위한 사회통합 프로그램 교재의 한국 사회문화 관련 내용 분석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교기반 국내 성교육 프로그램 연구 동향
- 중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온라인 수업 적응 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 메타경로분석을 이용한 미시체계 내 방어행동 관련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 성인학습자를 위한 실시간 혼합형 수업설계 및 실행전략 개발 연구
- 열린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교수학 제27권 제2호 목차
- 생산적 수업 담론을 위한 ‘5관행’ 적용 고등학교 수업 실행 연구
- 도형의 닮음 이슈와 과제 변형의 관계 분석: 중등 예비교사의 제1형 딜레마 해결 전략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