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Value and Role o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eramic Arts
- 발행기관
- 한국도자학회
- 저자명
- 최윤철(Choi Yun-cheol) 모인순(Mo In-Soon)
- 간행물 정보
- 『한국도자학연구』한국도자학연구 Vol.9 No.1, 61~7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8.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패러다임 이동에 따른 지식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근거로 한국도자학연구의 가치와 역할을 탐색하는 것이다.『한국 도자학 연구』는 한국에서 유일한 도자전문 학술지이다. 그러므로 연구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탐구되어야 할 가치와 정체성은 도자학 연구들이 현대의 삶과 어떻게 연결되는가에 대한 본질적인 물음에서 출발한다. 또한 이러한 물음을 내면화하고 구체화되기 위하여 도자연구에 역사적, 비판적, 생산적인 면이 포함되어야 하며, 도자영역의 풍부한 경험과 인지적 요인들이 지식으로 생성되어야 한다. 연구의 패러다임에서 가져온 가장 두드러진 변화의 동인은 ‘무엇이 지식의 합법적인 원천인가’에 대한 것이었다. 일반적으로 거의 모든 이들은 지식은 오직 글로만 제시되는 것으로 조건화되어 있다. 즉 지식에 대한 개념은 문자적이다. 그러나 지식기반사회의 도래로 인하여 문자화되지 않은 영역들이 더욱 창의적이라는 사실이 드러남에 따라, 지능과 연결된 문자적인 입장에서의 인지가 아닌 비문자적인 영역의 인지에 대한 관심들이 늘어나고 있다. 바로 이러한 지식의 발굴과 창조가 도자학 연구의 역할이다. 도자영역은 본질적으로 아날로그적 측면이 우세하며 역사성을 지닌 매체에 대한 개인의 경험을 근간으로 형성된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오늘날 도자가 경쟁력 있는 분야로 생존하기 위해서는 사적인 경험과 지식들을 공적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학문적인 노력과 함께 사회적인 맥락에서의 역할에 대한 가치가 정립되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연구는 개인적인 경험을 인지와 지식확장으로 넓혀가는 변증적 과정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향으로 한국의 도자학연구의 방향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도자학회를 담당하고 있는 회원들의 열정과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한국의 도자학연구에서 지식에 대한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공동체의 소통과 지식확장은 회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결국 연구란 회원들과 사회의 경험과 지식을 연결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공동체의 소통을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목차
개요
Abstract
Ⅰ. 서론
Ⅱ. 한국 도자학 연구 학술지의 가치
Ⅲ. 한국 도자학 연구의 역할
Ⅳ.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누에분을 이용한 유약 개발
- 중국 다이족의 토기 제작 연구
- Firenze산 담근석회를 이용한 미술 도자재료 발색연구
- 독일의 베스터발트 지역을 중심으로 한 소금유(油)의 전파와 영향
- 공예의 통합적 속성에 근거한 공예교육 구조와 영역
- 한국 도자학 연구의 가치와 역할
- 第一次世界大戦後におけるドイツ磁器産業の再生とデザインの展開
- 도자공예산업의 디자인경영 실태와 활성화 방안
- 1차1차 세계 대전 이후의 독일 도자기 산업의 재생과 디자인의 전개
- 동남아시아 요지의 구조와 기원에 대한 연구
- 흙물의 점도변화에 따른 돌기형상 연구
- 국내 도예 공모전의 변천과 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도자학회 학회 정관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예비 초등교사의 실기 역량 강화를 위한 사실적 소조 수업 연구
- 미술교육에서 개념 기반 학습의 의의와 실천 방안
- 듀이의 경험학습이론에 기반한 공공디자인 미술교육 - 초등 수업 프로그램 구안 및 적용 가능성 탐색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