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Spine Shapes according to a Change in Slurry Viscosity - Regarding Cheomjang technique
- 발행기관
- 한국도자학회
- 저자명
- 윤주철(Yun, Ju Cheol)
- 간행물 정보
- 『한국도자학연구』한국도자학연구 Vol.9 No.1, 105~11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8.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기법에서 파생 되어진 첨장(尖裝)기법은 흙물(slurry)의 퇴적현상을 이용한 기법으로 건조과정과 바르는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하여 일정 크기의 돌기군을 형성하는 기법이다. 기법의 돌기형상은 흙물의 점도(점성)와 입도(입자크기)의 변화에 따른 성형과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흙물의 조건에 따라 돌기의 개수, 두께, 높이, 모양이 다르게 표현 된다 는 이야기 이다. 본 연구는‘점도변화에 따른 돌기형상 연구’로 흙물의 함수량이 돌기성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정리함으로 실험을 통한 돌기의 안정적인 형상과 기법성형의 재현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험방법으로 흙물에 대한 화학적 분석, 성형실험을 위한 점도측정, 시편제작을 통한 돌기의 형상변화를 과학적으로 분석함으로 기법의 성형기간 및 돌기패턴을 정리하고자 한다. 결과분석으로 흙물의 점도변화에 따른 돌기의 개수, 두께, 높이, 모양의 변화에 대한 데이터를 구축 하고 일정크기의 돌기군을 정량화 하였으며, 함수량 변화에 따른 돌기형상 및 성형에 대한 정보를 실험을 통해 규명함으로 도자기법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Cheomjang techniquederivedfroourinherenttraditionaltechniquesisatechniqueusingthe sedimentationphenomenonofslurrywhereagroupofspineswithaconstantsizeisformedby severalrepetitionsofdrying and applying processes.The spine shapesofthistechnique are closelyrelatedtotheformingprocessdependentonchangesintheviscosityofslurryandthe particle size,which meansthatthe number,thickness,height,shape ofspinesare displayed differentlydependingonslurryconditions. Objectiveofthepresentstudyas Astudyofspineshapesaccordingtoachangeinviscosity isto analyze andarrange the influenceofwatercontentin slurryon formation ofspinesto secureastableshapeforspinesandreproducibilityoftheformingtechnique. Experimentalmethod involved a scientific analysis ofchanges in the spine shape through chemicalanalysisoftheslurry,viscositymeasurementforforming experiments,and specimen preparationtoarrangeformingperiodsandspinepatternsofthetechnique.Througharesults analysis,data on changes in the number,thickness,height,and shape ofspines was constructed,the spine groups ofa constantsize were quantified,and information on spine shapesand forming dependenton the changesin watercontentwasclarified to suggesta possibilityforutilizationasaceramictechnique.
목차
개요
Abstract
Ⅰ. 서론
Ⅱ. 첨장기법의 성형실험
Ⅲ. 실험결과 및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누에분을 이용한 유약 개발
- 중국 다이족의 토기 제작 연구
- Firenze산 담근석회를 이용한 미술 도자재료 발색연구
- 독일의 베스터발트 지역을 중심으로 한 소금유(油)의 전파와 영향
- 공예의 통합적 속성에 근거한 공예교육 구조와 영역
- 한국 도자학 연구의 가치와 역할
- 第一次世界大戦後におけるドイツ磁器産業の再生とデザインの展開
- 도자공예산업의 디자인경영 실태와 활성화 방안
- 1차1차 세계 대전 이후의 독일 도자기 산업의 재생과 디자인의 전개
- 동남아시아 요지의 구조와 기원에 대한 연구
- 흙물의 점도변화에 따른 돌기형상 연구
- 국내 도예 공모전의 변천과 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도자학회 학회 정관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예비 초등교사의 실기 역량 강화를 위한 사실적 소조 수업 연구
- 미술교육에서 개념 기반 학습의 의의와 실천 방안
- 듀이의 경험학습이론에 기반한 공공디자인 미술교육 - 초등 수업 프로그램 구안 및 적용 가능성 탐색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