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arthenware making Dǎizú in China
- 발행기관
- 한국도자학회
- 저자명
- 한정헌(Han, Jung-Hun)
- 간행물 정보
- 『한국도자학연구』한국도자학연구 Vol.9 No.1, 183~19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8.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과거 여러 민족(民族)의 실생활에 사용되었으며 지역 상업교역(商業交易)수단 중 중요한 요소를 차지하고 있던 토기는 시대의 흐름에 떠밀려 점차 그 맥(脈)이 사라져 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중국 윈난성(云南省,YúnnánShěng) 시솽반나(西双版納,Xīshuāngbǎnnà)에 있는 소수민족인 다이족(傣族,Dǎizú)의 토기제작과정에 대한 기록이다. 연구를 위한 소수민족과의 만남은 2010년 1월에서 2월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중국 윈난성 시솽반나의 다이족 중 마지막 토기 제작자인 위멍(YuMeng) 을 만나 통역을 통해 구전(口傳)되어지는 이야기와 그녀의 토기제작과정을 사진으로 첨부 기록하였다. 지역의 특징과 소수민족에 대한 설명은 주한 중국문화원을 통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다이족의 원시토기 성형기법의 특징으로 첫째, 기벽을 도구를 이용하여 두드려 성형하는 타렴과정이 한국의 옹기기법과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둘째, 노천 소성에서 진흙을 이용하여 돔(dome)형태로 소성기물과 연료를 덮어 소성하는 것은 가마 축조의 이전단계로 구분되어질 독특한 형태를 취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위의 특징을 통하여 원시(原始)토기 제작과정을 통한 문화적 교류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었 으며, 또한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주변국의 사라져가는 전통문화의 재조명은 물론 현대 도자문화와 연계할 수 있는 제작기법, 소성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목차
개요
Abstract
Ⅰ. 서론
Ⅱ. 윈난성(云南省)다이족(傣族)
Ⅲ. 다이족(傣族)의 토기 제작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누에분을 이용한 유약 개발
- 중국 다이족의 토기 제작 연구
- Firenze산 담근석회를 이용한 미술 도자재료 발색연구
- 독일의 베스터발트 지역을 중심으로 한 소금유(油)의 전파와 영향
- 공예의 통합적 속성에 근거한 공예교육 구조와 영역
- 한국 도자학 연구의 가치와 역할
- 第一次世界大戦後におけるドイツ磁器産業の再生とデザインの展開
- 도자공예산업의 디자인경영 실태와 활성화 방안
- 1차1차 세계 대전 이후의 독일 도자기 산업의 재생과 디자인의 전개
- 동남아시아 요지의 구조와 기원에 대한 연구
- 흙물의 점도변화에 따른 돌기형상 연구
- 국내 도예 공모전의 변천과 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도자학회 학회 정관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예비 초등교사의 실기 역량 강화를 위한 사실적 소조 수업 연구
- 미술교육에서 개념 기반 학습의 의의와 실천 방안
- 듀이의 경험학습이론에 기반한 공공디자인 미술교육 - 초등 수업 프로그램 구안 및 적용 가능성 탐색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