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a Silkworm droppings for Ceramic Glazes
- 발행기관
- 한국도자학회
- 저자명
- 곽인숙(Kwak, In Suk) 이병하(Byung-Ha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도자학연구』한국도자학연구 Vol.9 No.1, 81~10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8.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는 청자나 백자, 분청사기 유약에 이미 재가 첨가되어 있다는 사실은 전승도예가나 학자들에 의해 알려진 사실이다. 옛날부터 온돌을 주로 사용하여 온 우리나라는 각종 초목재를 자주 접할 수 있었기 때문에 많은 용도에 재를 이용하여 왔다. 그 예로 초목재의 대부분은 2가지 이상의 매용성분(CaO,MgO)을 함유하고 있어 여러 가지 매용재료(석회석, 활석, 백운석 등) 중에서 가장 매용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과거부터 도자기를 만들 때 유약 원료로 사용하여 왔다. 하지만 주거생활과 환경의 변화로 재를 쉽게 구할 수 없으며, 재를 만들기 위하여 공정이 번거롭다. 이런 면에서 누에분재는 누에가 배설한 분으로 나무 재나 초목재 보다는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또한 누에의 먹이로 사용되는 뽕잎은 다른 초목재와는 다르게 인위적으로 비료를 주지 않은 뽕잎을 먹고 누에가 배설한 분이므로 자연에서 Fe2O3,MnO 성분뿐 만 아니라, P2O5성분과 MgO성분을 포함한 친환경적인 유약의 재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매용 효과뿐만 아니라 이외에 MgO 성분과 P2O5의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유백유약과 요변현상의 누에 결정유약을 만들 수 있다. 본 논문은 재 유약 중에서도 친환경적이면서 한 번도 다루어지지 않은 누에분의 성분과 특성을 이용하여 가장 부드러우면서도 따뜻하며 발색이 다양한 재 유약을 개발하였다. 5∼6월에 채집한 뽕잎을 먹고 자란누에가 배설한 분을 유약에 사용하기 위하여 누에분의 최적하소온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하소온도에 따른 누에분재의 성분과 특성을 이용하여 보다 다양한 발색의 유약을 개발하고자 기본유약과 소지에 변화를 주어 실험하였다. 누에분재를 1000℃에서 3시간 유지하여 하소 한 경우에 알카리 성분이 소지에 영향을 주어 유약에 적합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누에분재를 1100℃에서 3시간 유지하여 하소하여 유약에 적용 하였을 경우 보다 안정적이며 다양한 유약을 만들 수 있다. 석회유계(7번, 부여장석60%, 석회석20%, 누에분재20%)에 하동화이트카올린과 부여규석을 첨가하여 실험하였을 경우 백자소지는 백자유약과 유백유약이 만들어 졌으며, 청자 또는 분청소지에서는 누에분재의 요변인 결정유약과 푸른빛이 도는 맑은 청자유약이 만들어 졌다. 석회유약에서는 다양한 발색으로 누에분재의 결정유약 유백유약, 백자유약, 청자유약에 적용 할 수 있다. 특히, 웰빙의 퓨전식기 활용 및 각종 차도구 등으로 적용 범위가 넓은 것을 알 수 있다. 석회바륨유계(13번, 부여장석50%, BaCO340%, 누에분재10%)에 하동화이트카올린과 부여규석을 첨가하여 실험하였을 경우 백자, 청자, 분청소지의 경우 대부분의 유면에서 순청자의 비색 (翡色)의 푸른빛이 발색 되었고, 또한 분청유약이 만들어 졌다. 이는 분청유약과 청자 유약으로 적용할 수 있다.
영문 초록
목차
개요
Abstract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누에분을 이용한 유약 개발
- 중국 다이족의 토기 제작 연구
- Firenze산 담근석회를 이용한 미술 도자재료 발색연구
- 독일의 베스터발트 지역을 중심으로 한 소금유(油)의 전파와 영향
- 공예의 통합적 속성에 근거한 공예교육 구조와 영역
- 한국 도자학 연구의 가치와 역할
- 第一次世界大戦後におけるドイツ磁器産業の再生とデザインの展開
- 도자공예산업의 디자인경영 실태와 활성화 방안
- 1차1차 세계 대전 이후의 독일 도자기 산업의 재생과 디자인의 전개
- 동남아시아 요지의 구조와 기원에 대한 연구
- 흙물의 점도변화에 따른 돌기형상 연구
- 국내 도예 공모전의 변천과 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도자학회 학회 정관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예비 초등교사의 실기 역량 강화를 위한 사실적 소조 수업 연구
- 미술교육에서 개념 기반 학습의 의의와 실천 방안
- 듀이의 경험학습이론에 기반한 공공디자인 미술교육 - 초등 수업 프로그램 구안 및 적용 가능성 탐색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