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lor fixation effects of Firenze dipped lime on ceramic materials
- 발행기관
- 한국도자학회
- 저자명
- 안재영(An, Jae 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도자학연구』한국도자학연구 Vol.9 No.1, 147~16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8.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피렌체산(産) 담근석회(石灰)를 이용하여 미술 도자재료의 발색(發色)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석회는 보통 생석회(산화칼슘) CaO와 이것이 물과 화합한 소석회(수산화칼슘) Ca(OH)2을 통틀어 이르는데 고대 로마의 벽화부터 회반죽 벽에 그려진 일체의 벽화기법인 프레스코(fresco painting)에 주로 사용됐다. 특히나 피렌체산(産) 석회질은 발색이 좋고 견고하다. 미술교육과 회화재료로 쓰이는 석회들을 연구 중 도자에서 쓰임을 갖는 화장토(化粧土)와 비교 연구 해보고자 하는 의문점을 가지게 되었고 석회가 화장토의 역할을 할 수 있는지 그리고 산화철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보통벽돌(common brick)가루와 모래에 소석회가 들어간 규회(硅灰)벽돌(sand lime brick)가루등 타 재료를 첨가하여 어떤 효과를 갖는지 등 재료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본 논문을 연구 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프레스코화에서 피렌체산(産) 석회는 색의 농담 효과가 좋다. 이에 석회의 종류도 다양하여 본 연구는 2005년과 2009년 피렌체산(産) 석회로 숙성된 담금석회로 제한하여 이것을 시편에 발라 소성(燒成)하여 화장토(化粧土)처럼 적당한 밀도로서 태토에 잘 부착되어 유지하고 있는지, 유약에 의해서 용해되지 않고 갈라짐이나 말림현상이 없는지, 수축율의 차이에도 벗겨짐이 없는지를 실험하여 미술교육은 물론 미술도자재료 개발 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개요
Abstract
Ⅰ. 서론
Ⅱ. 재료의 특성과 용도
Ⅲ. 실험결과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누에분을 이용한 유약 개발
- 중국 다이족의 토기 제작 연구
- Firenze산 담근석회를 이용한 미술 도자재료 발색연구
- 독일의 베스터발트 지역을 중심으로 한 소금유(油)의 전파와 영향
- 공예의 통합적 속성에 근거한 공예교육 구조와 영역
- 한국 도자학 연구의 가치와 역할
- 第一次世界大戦後におけるドイツ磁器産業の再生とデザインの展開
- 도자공예산업의 디자인경영 실태와 활성화 방안
- 1차1차 세계 대전 이후의 독일 도자기 산업의 재생과 디자인의 전개
- 동남아시아 요지의 구조와 기원에 대한 연구
- 흙물의 점도변화에 따른 돌기형상 연구
- 국내 도예 공모전의 변천과 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도자학회 학회 정관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예비 초등교사의 실기 역량 강화를 위한 사실적 소조 수업 연구
- 미술교육에서 개념 기반 학습의 의의와 실천 방안
- 듀이의 경험학습이론에 기반한 공공디자인 미술교육 - 초등 수업 프로그램 구안 및 적용 가능성 탐색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