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Teacher s Feedback Timing and Learners Cognitive Styles on the Learners Motivation to Learn in Simulation Aided Classe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윤권기(Yoon, Kwonki) 정동욱(Cheong, Donguk)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26권 제3호,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7.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 시뮬레이션 활용 수업에서 학습자의 인지양식에 따른 교사의 피드백 제공 시기가 학습자의 학습동기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에 참여한 118명의 학생들은 인지양식과 교사의 피드백 제공 시기에 따라 네 개의 실험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Starry Night이라는 천문학 학습용 컴퓨터 시뮬레이션이 중학교 3학년 과학 ‘태양계의 운동’ 단원의 수업에 활용되었다. 인지양식의 측정은 집단잠입도형검사지(Group Embedded Figure Test)가 사용되었고, 학습동기의 측정은 적응학습유형조사(Patterns of Adaptive Learning Survey)가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컴퓨터 시뮬레이션 활용 수업에서 장독립적 학습자가 장의존적 학습자보다 학습동기 향상의 정도가 컸다. 또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활용 수업에서 교사의 피드백은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향상시켰으나, 교사의 피드백 제공 시기(즉각적, 지연적)는 학습자의 학습동기 향상에 차이를 가져오지 않았다. 그러나 교사의 피드백 제공 시기와 학습자의 인지양식은 학습자의 학습동기 향상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장의존적 인지양식을 가진 학습자들 중, 즉각적 피드백을 받은 집단이 지연적 피드백을 받은 집단보다 학습동기의 향상 정도가 더 컸다. 그러나 장독립적 인지양식을 가진 집단은 교사의 피드백 제공 시기에 따른 학습동기 향상의 정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교실수업에서 교사 처치가 학습자 특성에 기반을 두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ich feedback timing is more effective on improving learners motivation to learn in simulation aided classes. An astronomical simulation program to learn the movement of the solar system, called Starry Night, was used in the science classes for ninth graders. The 118 subjects were assigned into four experimental groups for this study. Two groups were given the teacher’s immediate feedback, whereas the other two groups were given the delayed feedback during the classes. Group Embedded Figure Test was used for measuring learners cognitive styles and Patterns of Adaptive Learning Survey was used for measuring their motivation levels to learn. The results indicate that cognitive styles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ers motivation to learn. Especially, the difference of improvement of motivation to learn of field-independent learners was larger than that of field-dependent learners. However, feedback timing did not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ers motivation to learn. Meanwhile, feedback timing and cognitive styles had interactive effect on learners motivation to learn. Especially, among field-dependent learners, the learners who had immediate feedback from their teacher during the simulation aided classes showed a large difference in improvement of motivation to learn than learners who had delayed feedback. However, the learners who have field-independent cognitive styl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motivation to learn by teacher’s feedback timing.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식물의 뿌리 및 줄기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인식 정도
- 음악학습을 중심으로 본 초등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 체제 적절성 탐색
- 국가대표 체조선수들의 심리기술훈련을 통한 불안 자신감 및 정신적 변화 효과
- 2009년도 기본 이수과목에 따른 사범대학 음악교육과의 교육과정 비교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 부적응 요인 탐색
- ADDIE 모형에 의한 기술·가정 교과의 로봇 수업 자료 개발
- 논술 채점에 있어서 채점자 배경 변인의 영향
- 생물Ⅰ ‘유전’ 단원에서 발생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의 효과
- 시뮬레이션 활용 수업에서 학습자의 인지양식에 따른 교사의 피드백 제공 시기가 학습동기 향상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