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Rater Background on the Evaluation of Student Writing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인숙(Kim, Insuk)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26권 제3호, 133~14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7.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서술형 평가를 포함한 일반적인 교육평가의 궁극적인 목표는 학생들이 공정하게 평가받고 학생들의 성적이 채점자 등 외부적인 변인에 의해 영향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채점자의 배경 변인이 학생들의 논술 채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험적인 연구는 극히 드물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실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준별 수업의 경험, 교육 경력, 채점 경력, 그리고 인터벤션 클래스(intervention class) 경험과 같은 교사인 채점자들의 다양한 배경변인이 학생들의 논술 채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본 연구에서 고려한 채점자의 배경변인이 학생의 논술 평가에 있어서 미치는 영향은 아주 적음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채점자 선정에 있어서 특정한 채점자 배경 변인에만 한정시켜 채점자의 신뢰성을 논하기보다는 채점자 훈련과 모니터링(monitoring) 과정의 질적 향상을 통해 더 나은 논술 시험 평가의 공정성을 확보해야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ultimate goal in writing assessment, indeed in educational measurement in general, is to make sure that students are fairly evaluated, and that their scores do not depend on extraneous variables such as the raters who grade them. There has been surprisingly little empirical work on the influence of rater background variables on the evaluation of student writing.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the evaluation of student writing by raters with various backgrounds such as different levels of teaching experience, different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different years of rating experience, and the experience of teaching intervention classes using the real data. Results of this study clearly indicate that there were negligible effects from rater background and experience on the evaluation of student writing, which suggests attention to training and monitoring raters performance.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
Ⅲ. Results
Ⅳ. Discus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식물의 뿌리 및 줄기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인식 정도
- 음악학습을 중심으로 본 초등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 체제 적절성 탐색
- 국가대표 체조선수들의 심리기술훈련을 통한 불안 자신감 및 정신적 변화 효과
- 2009년도 기본 이수과목에 따른 사범대학 음악교육과의 교육과정 비교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 부적응 요인 탐색
- ADDIE 모형에 의한 기술·가정 교과의 로봇 수업 자료 개발
- 논술 채점에 있어서 채점자 배경 변인의 영향
- 생물Ⅰ ‘유전’ 단원에서 발생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의 효과
- 시뮬레이션 활용 수업에서 학습자의 인지양식에 따른 교사의 피드백 제공 시기가 학습동기 향상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