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chool Maladjust Factor Analysis of Multicultural Family s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현욱(Kim, Hyunwook) 홍신기(Hong, Sinki) 권동택(Kwon, Dongtaik)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26권 제3호, 21~3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7.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들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교사변인, 학생변인, 학교부적응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변인이 학교 부적응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학생변인에서는 학생의 심리적 특성보다는 교우관계나 사교성이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교우관계에서의 부적응도 교사변인의 간접적인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다. 학교 부적응은 수업, 학교질서, 교사관계, 교우관계로 구분하였는데, 역시 교사 관계에서의 부적응 요인이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수업, 교우, 학교질서 순으로 나타났다. 모형의 적합도는 이 49.525(p=.144), TLI .928, RMSEA .072, CFI .948, RMR .056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가정 학생의 심리적 특성, 가정, 학교, 교우, 교사관계를 요인으로 하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이들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fo this study was to analysis about school maladjust factor of multicurtural family s students by using Longitudinal Study of Korean Education data. Base on the selected data, Structu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factor, student factor and school maladjust factor.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 : First, teacher factor was main effect on the school maladjustment. In student factor, schoolmate relationship and sociability were more influential variable than student s psychologic character. Also maladjustment of schoolmate relationship was indirectly influenced by teacher factor. Second, school maladjut factor was constructed with variables - school rule, teacher relationship, schoolmate relationship, instruction. Teacher relationship was more influential variable. Third, the model fit, 49.525(p=.144), TLI .928, RMSEA .072, CFI .948, RMR .056 was relatively satisfied with the standar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based on this results, succeeding study can be more helpful with elaborate factor- student s family, schoolmate, psycholosic character and so forth.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식물의 뿌리 및 줄기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인식 정도
- 음악학습을 중심으로 본 초등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 체제 적절성 탐색
- 국가대표 체조선수들의 심리기술훈련을 통한 불안 자신감 및 정신적 변화 효과
- 2009년도 기본 이수과목에 따른 사범대학 음악교육과의 교육과정 비교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 부적응 요인 탐색
- ADDIE 모형에 의한 기술·가정 교과의 로봇 수업 자료 개발
- 논술 채점에 있어서 채점자 배경 변인의 영향
- 생물Ⅰ ‘유전’ 단원에서 발생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의 효과
- 시뮬레이션 활용 수업에서 학습자의 인지양식에 따른 교사의 피드백 제공 시기가 학습동기 향상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