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Utilizing Generative Learning Method in Teaching of Genetics in Biology I Textbook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동렬(Kim, dong ryeul)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26권 제3호, 91~11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7.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생물Ⅰ ‘유전’ 단원에서 발생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여 고등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과학 학습동기 및 개념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부산에 소재한 인문계고등학교 2학년 4개 학급의 학생들로 실험집단 63명과 통제집단 64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발생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은 전통적 강의식 방법보다 학업 성취도, 과학 학습동기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즉, 발생학습은 과학 수업 이전에 가지고 있던 학생들의 개념과 교사가 제공한 과학적 개념과의 상호작용을 일으켜 개념의 재구성 및 개념 변화가 일어나도록 하였다. 또한 스스로 잘못된 개념에 관해 질문하고, 오류를 발견하며 수정해 나가는 과정을 경험함으로써 과학 활동에 대한 흥미와 즐거움을 갖게 하였다. 발견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이 개념 변화의 조건을 충족시켰는지 확인하기 위해 면담을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던 유전 개념에 불만족을 느끼게 되었고, 새롭게 형성된 유전 개념은 이해 가능하고 그럴듯하며 유용성을 가진다는 반응을 보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ends to find out the effects of utilizing generative learning model in teaching of Genetics in Biology I textbook on the academic achievement, scientific learning motivation, and conceptual change of highschool students. The research subject was the second-year highschool students of the four classes of an academic highschool in Busan, consisting of sixty-three students as a test group and sixty-four as a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lass based on generative learning model was more effective than the conventional lecture-based class in improving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tific learning motivation. That is, the generative learning model cause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rior concepts students had and the scientific concepts teachers presented, thus reconstructing or changing the students concepts, making them inquire voluntarily about their own misconceptions, discover errors and correct them, so that they came to have fun and joy in scientific activities. Also, as a consequence of interviewing students for checking whether or not the class based on generative learning model fulfilled the condition of conceptual change, it was shown that they came to feel dissatisfaction about their own genetic concepts and find the newly formed concepts are intelligible alternatives with plausibility and fruitfulness.
목차
Ⅰ. 서 론
Ⅱ. 발생학습의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식물의 뿌리 및 줄기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인식 정도
- 음악학습을 중심으로 본 초등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 체제 적절성 탐색
- 국가대표 체조선수들의 심리기술훈련을 통한 불안 자신감 및 정신적 변화 효과
- 2009년도 기본 이수과목에 따른 사범대학 음악교육과의 교육과정 비교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 부적응 요인 탐색
- ADDIE 모형에 의한 기술·가정 교과의 로봇 수업 자료 개발
- 논술 채점에 있어서 채점자 배경 변인의 영향
- 생물Ⅰ ‘유전’ 단원에서 발생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의 효과
- 시뮬레이션 활용 수업에서 학습자의 인지양식에 따른 교사의 피드백 제공 시기가 학습동기 향상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