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he Curriculum of Music Education in Colleges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2009 Basic Required Course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전미영(Jeon, Mi young) 김일영(Kim, Il young)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26권 제3호, 115~13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7.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등 음악교사 전문양성 기관인 국・공립 및 사립의 사범대학 음악교육과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바람직한 음악교사 양성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제정한 음악과 기본 이수 과목 및 분야를 살펴보고, 전국의 사범대학 음악교육과 10개 곳을 대상으로 각각의 교육과정을 수집하고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음악교육과 기본이수과목 중 과목명이 포괄적으로 제시되어 각 대학에서 교육내용의 통일성이 낮게 나타났다. 각 대학의 교과 내용학 과목수와 학점수는 국악분야 보다 서양음악분야의 관련 과목이 더 많이 개설되어있었다. 그러나 국악 과목 자체는 예전 보다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에게 필요한 음악지도법 및 교수법 관련 과목수와 학점수는 현저히 낮은 비율로 개설되어 앞으로 더 개설될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전공 기본 이수 과목 및 분야’는 보다 신중하고 명확한 과목으로 제시해야 할 것이며, 각 대학은 이를 잘 숙지하여 교육과정을 개정함으로써 질 높은 음악교사 양성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llustrate the desirable direction in terms of training music teachers through a comparative examination on the education courses administrated in the specialized training institutes for secondary music teachers (Music Education Dpt. In Nat’l, Public and Private Universities). For this goal, we review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basic required courses and major fields in Music Education Dpt.” organiz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collected and analyzed comparatively the education courses presented by the Music Education Dpt. in 10 Universities nation-wide.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found low consistency in each University’s education program, because they set redundant subjects in the programs due to the similarity in subject contents among the basic required courses. In terms of the subject contents, we found attaching more weight to western music part and relative subjects than traditional music part, but also the improvement in the traditional music subjects compared to old ones. There are remarkable low ratio of the relative subjects on the methods of teaching and guidance. So, these subjects should be added to the program for the improvement in the methods of teaching of teachers. After all, “the basic required courses and major fields” should be showed into more careful and clear subjects and each university should make preparation for cultivating more qualified music teachers through recognizing and revising the education courses and fields faithfull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및 제한점
Ⅲ. 연구의 기초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Ⅵ. 앞으로의 음악교육과 교육과정을 위한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식물의 뿌리 및 줄기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인식 정도
- 음악학습을 중심으로 본 초등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 체제 적절성 탐색
- 국가대표 체조선수들의 심리기술훈련을 통한 불안 자신감 및 정신적 변화 효과
- 2009년도 기본 이수과목에 따른 사범대학 음악교육과의 교육과정 비교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 부적응 요인 탐색
- ADDIE 모형에 의한 기술·가정 교과의 로봇 수업 자료 개발
- 논술 채점에 있어서 채점자 배경 변인의 영향
- 생물Ⅰ ‘유전’ 단원에서 발생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의 효과
- 시뮬레이션 활용 수업에서 학습자의 인지양식에 따른 교사의 피드백 제공 시기가 학습동기 향상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