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Systematic Appropriateness of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 Pleasant Life Focused on Learning Music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함희주(Ham, Heeju)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26권 제3호, 147~16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7.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재 초등 1/2학년에 적용하는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에 관한 적절성을 다룬 것이다. 우리나라 통합교육과정은 4차 교육과정(1981)이래 현재 까지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음악이 그 특성상 ‘즐거운 생활’의 교과 구성에서처럼 특정교과로 제한된 통합교과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 등에 관한 의문점은 오래전부터 음악교과 전문가들 사이에서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악의 특성, 아동의 음악성발달, 인지적 단계에 따른 음악학습 등을 고려해볼 때 과연 현 체제와 같은 통합교과 교육과정 체제가 적절한가에 대한 문제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음악은 아동의 음악적 발달 측면에서 교과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독립교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계속적으로 통합교과교육과정으로 편제 될 경우에는 음악이 중심이 되는 다양한 교과 관련적 통합학습이 적절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a research on the method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learning music in pleasant life subject, integrated curriculum, followed by several problems as an example. Based on the research, the first problem as a method to increase academic development in learning music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s that guiding students study with the identical theme as a composition of pleasant life subject correlating music · arts · physical education sets limits to construct a connection between activities. Thus, the limit of subjects should be transformed for integrated subjects to construct a various learning depending on the subjects. Second, the themes chosen in pleasant life curriculum lack the appropriateness in relations between grades or learning by subjects. Third, it is effective to run music as an independent subject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who need to learn the general idea of music. In conclusion, considering the problems shown above, it is advisable to run music curriculum as an independent subject based upon the artistic features of music, the traits in guiding students study and a cognitive development of a child.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Ⅲ.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식물의 뿌리 및 줄기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인식 정도
- 음악학습을 중심으로 본 초등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 체제 적절성 탐색
- 국가대표 체조선수들의 심리기술훈련을 통한 불안 자신감 및 정신적 변화 효과
- 2009년도 기본 이수과목에 따른 사범대학 음악교육과의 교육과정 비교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 부적응 요인 탐색
- ADDIE 모형에 의한 기술·가정 교과의 로봇 수업 자료 개발
- 논술 채점에 있어서 채점자 배경 변인의 영향
- 생물Ⅰ ‘유전’ 단원에서 발생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의 효과
- 시뮬레이션 활용 수업에서 학습자의 인지양식에 따른 교사의 피드백 제공 시기가 학습동기 향상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