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eta-analysis of Intervention Effects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Persons with Cerebral Palsy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표(Kim, Young-Pyo)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8권 제2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4.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뇌성마비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ADL)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루어진 중재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하여 그 현황과 효과를 알아보고, 그러한 효과가 중재 유형, 발달 시기, 처치 횟수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를 알아봄으로써 뇌성마비인의 ADL 중재 연구의 효과 크기의 조정변인이 무엇인가를 확인하는 데 있었다. 연구 결과, 뇌성마비인의 ADL 중재는 총 20편(집단실험 14편, 사례연구 또는 단일대상연구 6편)으로 치료적 중재, 교육-기능적 운동 중재, 매개적 중재, 공학적 중재로 구분할 수 있는데, 집단 실험 연구 12편에서 도출된 전체 평균 효과 크기는 .740 으로 Cohen(1992)의 기준에 따르면 약간 높은 정도의 효과 크기를 가지고 있었다. 중재 유형에 따라서 치료적 중재, 공학적 중재, 매개적 중재, 교육-기능적 운동 중재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높게 나타났고, 발달 시기에 따라서는 아동기, 성인기, 유아 및 초기 아동기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유의하게 높았다. 중재가 이루어진 처치 횟수에 따라서는 효과 크기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tatus and to examine the effects through meta-analysis of intervention studies which made in order to improve the ADL of persons with cerebral palsy. It was confirmed for something to be considered by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such interventions depending on how different types, developmental term, and treatment sessions. To improve the ADL of persons with the cerebral palsy. Results, ADL intervention of persons with cerebral palsy was a total of 20 pieces (14 experimental groups studies, 6 case studies or single subject studies) could be divided into therapeutic intervention, education - functional exercise interventions, mediated interventions, and engineered interventions. Grand mean effect size was about 0.7 and was a slightly higher degree of effect size when viewed by the Cohen(1992). Depending on the type of interventions, the effect size of therapeutic interventions, engineered interventions, mediated interventions, education-functional exercise interventions was higher in the order. and, based on developmental term, the effect size was higher in the order of childhood, adulthood, infancy & early childhood but their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ifference was not observ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treatment sessions. All of these results were occurred due to the lack of systematic research on the ADL interventions of persons with cerebral palsy, there was a need for more research in this cumulative. If the research were sufficiently cumulative, meta-analytic results for the validity of evidence-based practice shall be obtain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체장애 청소년의 정체성발달과 신체와의 대면
- 보건학 전공 대학생의 장애인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장애인의 문화교육 증진을 위한 심리변인의 확인적 요인분석
- 지체장애 특수학교 학생의 보조공학기기 사용 실태와 교사의 인식
- 중학교 일반교사의 장애낙인에 따른 지도행동의향 분석
- 2011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과학 ‘내용 성취기준’ 적합성 조사 연구
- STEM 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지체장애 청소년의 STEM 영역 지식과 선호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액션러닝을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장애아 부모의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효과
- 뇌성마비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중재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ALS지원제도 한·일 비교연구
- 지체장애 근로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탐색
- 장애성인의 의사소통문제에 대한 전문가들의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Enhancing Learners’ Convergence Competency through VR Design-Based STEAM Education
- Development of A Functional Model for An AIbased Adaptive Learning Platform
-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과정에 대한 시선추적 양상 연구 : 그래픽 노블과 그림책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