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Research on the Appropriateness of Content Standards of Science for Primary School in 2011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이동원(Lee, Dong-Won) 이숙정(Rhie, Suk-Jeong) 조해란(Cho, Hae-Ran)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8권 제2호, 137~16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4.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11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과학 내용 성취기준의 적합성을 알아보고자, 기본 교육과정 운영 특수학교에서 초등과학 교과를 담당하는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특히 교사가 인식하는 담당학생의 학습수준을 상중하 3가지로 분류하여 수준별로 조사하였으며, 더불어 학년군별 및 과학 영역별 적합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년군 및 학생수준별 과학 내용 성취기준 적합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따르면, 학년군이 높을수록, 나아가 학생 수준이 낮을수록 적합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과학의 4가지 영역(물질, 에너지, 생명, 지구)과 관련하여 내용 성취기준 적합성은 학생 수준이 낮아질수록, 나아가 학년군이 높아질수록 떨어졌고, 동일학년군, 동일수준 학생에게 있어서도 과학영역별 적합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서로 상이했다. 이에 근거하여 기본교육과정 적용 학생들이 고학년이 된다고 해도 교과내용이 공통교육과정의 수준과 비례하여 어려워지면 곤란하고, 동일학년 내에서도 수준 차이가 크므로 내용성취기준 설정에서 이를 제대로 반영해야 한다는 해석이 가능했다. 나아가 이러한 현장 인식에 따라 기본 교육과정‘학년군별 성취기준’개념에 대한 학계의 교과교육학적 논의가 요청되며, 과학 영역별 성취기준 차등 분배, 중도중복장애 학생 학습 수준에 중점을 두는 성취기준 개발 필요성 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learn about an appropriate learning standards and science education in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in 2011. In order to conduct the survey, the professional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the science curriculum about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special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e grades in this survey consisted of three categories (high, medium and low) depending on the difference of students scholastic aptitude. These categories emphasized focus in the appropriateness for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science subj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s that the standards of accomplishment for current science subjects were not suitable for the students of below middle level. The majority of this group consisted of the students who had received a basic curriculum of special schools. This made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study energy, bio, and earth science as students got older. In additio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elementary science in basic curriculum of special school should be reduced. Furthermore, the research needed to be conducted, and required continuous expertise to develop unique lecturing characteristics and created a professional approach manual for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분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체장애 청소년의 정체성발달과 신체와의 대면
- 보건학 전공 대학생의 장애인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장애인의 문화교육 증진을 위한 심리변인의 확인적 요인분석
- 지체장애 특수학교 학생의 보조공학기기 사용 실태와 교사의 인식
- 중학교 일반교사의 장애낙인에 따른 지도행동의향 분석
- 2011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과학 ‘내용 성취기준’ 적합성 조사 연구
- STEM 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지체장애 청소년의 STEM 영역 지식과 선호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액션러닝을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장애아 부모의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효과
- 뇌성마비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중재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ALS지원제도 한·일 비교연구
- 지체장애 근로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탐색
- 장애성인의 의사소통문제에 대한 전문가들의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Enhancing Learners’ Convergence Competency through VR Design-Based STEAM Education
- Development of A Functional Model for An AIbased Adaptive Learning Platform
-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과정에 대한 시선추적 양상 연구 : 그래픽 노블과 그림책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