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on Life Satisfaction of Work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조현진(Cho, Hyun-Jin) 박재국(Park, Jae-Kook) 박량은(Park, Lyang-Eun)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8권 제2호, 203~22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4.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체장애 근로자의 인구사회학적 요인, 장애관련 요인, 직업관련 요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 조사한 2013년 제6차 장애인 고용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전체 조사대상자 가운데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지체장애 근로자 581명에 대한 유효한 자료를 추출하였으며,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 근로자의 일자리 만족도는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일의 내용, 근로시간 등은 높은 만족도를 보인 반면, 교육훈련기회, 개인의 발전가능성, 임금 및 소득, 복리후생에 대해서는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둘째, 삶의 만족도는 중간 수준의 만족도를 보였으며, 가족관계, 결혼생활, 친구관계, 거주지역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반면, 건강상태, 월수입, 여가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에는 결혼상태와 학력이, 장애관련 특성에서는 장애상태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일자리 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지체장애인을 위한 직업적 지원뿐 아니라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factors, disability -related factors and job-related factors of work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on life satisfaction. For this study, the data of the 2013 6th Korea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conducted by the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of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were utilized. From all the subjects surveyed, 581 work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ho were fit for the study purpose, were chosen, and analysis were implemented. First, job satisfaction of work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showed a normal level. Communication/personal relations, contents of work, and working hours show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hereas, opportunity for education and training, individual potential for development, wage or income, and welfare benefits showed a lower level of satisfaction. Second, life satisfaction of work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showed a normal level. Family relations, marital life, friendship, and where to live show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hereas, health status, monthly income, and leisure activity showed a lower level of satisfaction. Third, marital status and academic background of soci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isability status of disability-related characteristics influenced on life satisfaction. Amo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scrimination experience in work places and the use of knowledge or functions learned from the current jobs were the influencing factors, and last,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diverse plans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through job support for work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improvement in job satisfa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체장애 청소년의 정체성발달과 신체와의 대면
- 보건학 전공 대학생의 장애인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장애인의 문화교육 증진을 위한 심리변인의 확인적 요인분석
- 지체장애 특수학교 학생의 보조공학기기 사용 실태와 교사의 인식
- 중학교 일반교사의 장애낙인에 따른 지도행동의향 분석
- 2011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과학 ‘내용 성취기준’ 적합성 조사 연구
- STEM 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지체장애 청소년의 STEM 영역 지식과 선호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액션러닝을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장애아 부모의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효과
- 뇌성마비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중재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ALS지원제도 한·일 비교연구
- 지체장애 근로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탐색
- 장애성인의 의사소통문제에 대한 전문가들의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Enhancing Learners’ Convergence Competency through VR Design-Based STEAM Education
- Development of A Functional Model for An AIbased Adaptive Learning Platform
-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과정에 대한 시선추적 양상 연구 : 그래픽 노블과 그림책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