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Utilization Status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Recognition of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은량(Kim, Eun-Yang) 한경임(Han, Kyung-Im)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8권 제2호, 111~13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4.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체장애 특수학교 학생들의 보조공학기기 사용 실태와 교사들의 인식 조사를 통하여 보조공학기기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보조공학 서비스 지원체계와 올바른 보조공학 사용방법 안내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전국의 지체장애 특수학교 교사 464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 학생의 65%가 보조공학기기를 필요로 하고 있으나 실제 사용하는 경우는 필요 학생의 51.87%이며 보조공학 기기를 필요로 하는 학생들의 장애 정도는 심한 편이었다. 교사의 관련 교육 경험은 수도권의 경우 직무연수가 많았다. 학생들은 대부분 학교에서 보조공학기기를 사용하였으며, 이동 보조기구나 착석 및 자세 보조기구를 주로 사용하였다. 둘째, 교사의 보조공학기기 추수지도 경험은 거의 없으며, 경험이 있는 경우도 보조공학기기 판매기관 및 대여기관에서 재활(보조)공학사나 물리치료사에게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조공학기기 관련 교육 경험의 활용도는 수도권의 경우 높았으며, 보조공학기기의 선택기준은 무엇보다 학생의 장애정도를 고려하여 선택해야 하며, 특히 광역시 교사들은 보조공학기기가 지체장애 학생들의 직업선택 기회를 얻고,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ssistive Technology(AT) devices utilization status of students with student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recognition of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64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capital areas, metropolitan cities and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65%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needed AT devices, but the only 51.87% of whom were using them. Most of students with spastic quadriplegia needed AT devices. The students usually used the AT devices at schools, for movement, seating and positioning. Second, teachers had few experiences about follow-up service for AT devices and those experiences were from AT device store and lending library. There was few differences in the satisfaction with the follow-up service for the AT devices according to district,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as low. Criteria of selecting AT devices were considering the disability severity of students. Teachers in metropolitan cities thought the devices were important for th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o get the job or to improve their communicative abilit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체장애 청소년의 정체성발달과 신체와의 대면
- 보건학 전공 대학생의 장애인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장애인의 문화교육 증진을 위한 심리변인의 확인적 요인분석
- 지체장애 특수학교 학생의 보조공학기기 사용 실태와 교사의 인식
- 중학교 일반교사의 장애낙인에 따른 지도행동의향 분석
- 2011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과학 ‘내용 성취기준’ 적합성 조사 연구
- STEM 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지체장애 청소년의 STEM 영역 지식과 선호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액션러닝을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장애아 부모의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효과
- 뇌성마비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중재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ALS지원제도 한·일 비교연구
- 지체장애 근로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탐색
- 장애성인의 의사소통문제에 대한 전문가들의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Enhancing Learners’ Convergence Competency through VR Design-Based STEAM Education
- Development of A Functional Model for An AIbased Adaptive Learning Platform
-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과정에 대한 시선추적 양상 연구 : 그래픽 노블과 그림책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