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Psychology Factors for Improving Cultural Education in Persons with Disabilities - Structure Concept of Multiple Intelligences and Cultural Competency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숙(Kim, Jung-Suk)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8권 제2호, 75~9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4.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장애인들에게 문화교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행복추구에 필요한 심리 역량에 주안점을 두고, 그 구조 개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다중지능과 문화적 역량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SPSS와 Amos를 통해 통계 자료처리를 하였다. 이에 다중지능과 문화적 역량 요인들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구조 모형 검증의 적합성을 알아보았으며, 연구결과에서는 적합한 결과를 나타냈다. 세부적으로 다중지능의 하위요인인 논리수학지능, 공간지능, 언어지능, 음악지능, 신체운동지능, 인간친화지능, 자연친화지능, 자기성찰지능은 문화적 역량과 유의미한 관계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고, 구조 모형 검증을 위한 상관관계 결과에서는 다중지능과 문화적 역량의 하위 요인 모두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측정도구 간의 평균은 다중지능 요인이 문화적 역량 요인보다 높게 나타나 다중지능 요인이 문화교육 심리에 높은 의미성이 있다는 사실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장애인들에게 문화교육 증진을 위한 심리 역량을 분석하여 실제 특수교육의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구조 개념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factors contributing increase of cultural education psychological competence that could be applied to the structure concepts modeling of psychological competence for the physical disabilities. The study confirmed measurement model consisted SPSS 11 and Amos 4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procedures of the study. The multiple intelligence factors of bodily-kinesthetic, musical, intra-inter personal, logical-mathematical, nationalist, linguistic, spatial, humanist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structural to cultural competency. The correlation results for all of the structural model validation significantly Multiple Intelligences and cultural competence factors showed a high correlation. In this study, the structure of the model validation results for the three psychological measures correlated significantly both factors showed a high correlation, a positive psychological disabilities capabilities were able to determine the temporal coherence. The implication of study was that applicable to psychological structure concepts modeling of culture education for the physical disa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체장애 청소년의 정체성발달과 신체와의 대면
- 보건학 전공 대학생의 장애인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장애인의 문화교육 증진을 위한 심리변인의 확인적 요인분석
- 지체장애 특수학교 학생의 보조공학기기 사용 실태와 교사의 인식
- 중학교 일반교사의 장애낙인에 따른 지도행동의향 분석
- 2011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과학 ‘내용 성취기준’ 적합성 조사 연구
- STEM 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지체장애 청소년의 STEM 영역 지식과 선호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액션러닝을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장애아 부모의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효과
- 뇌성마비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중재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ALS지원제도 한·일 비교연구
- 지체장애 근로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탐색
- 장애성인의 의사소통문제에 대한 전문가들의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Enhancing Learners’ Convergence Competency through VR Design-Based STEAM Education
- Development of A Functional Model for An AIbased Adaptive Learning Platform
-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과정에 대한 시선추적 양상 연구 : 그래픽 노블과 그림책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