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성인의 의사소통문제에 대한 전문가들의 인식

이용수  1

영문명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s on Communication Disorders of Adults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정경희(Jeong, Gyeong-Hee) 안성우(Ahn, Seoung-Woo) 신창숙(Shin, Chang-Suk)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8권 제2호, 163~18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4.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성인의 의사소통문제 및 언어치료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대구·경북, 부산·경남의 장애인 이용기관에 근무하는 전문가들 125명이다. 장애성인 의사소통문제 및 언어치료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을 사용해서 빈도분석, 교차분석,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 첫째, 전문가들은 장애성인의 의사소통문제에 대한 언어치료지원의 필요성을 높이 인식하고 있었으며 전문가들의 인구사회학 특성에 따라 의사소통문제에 대한 언어치료지원의 인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장애성인들은 언어치료에 대해 잘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언어치료지원도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전문가들이 인식하는 장애성인들이 나타내는 의사소통의 문제는 표현언어가 가장 많았으며 대화의 어려움과 자신의 의사표현에 어려움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성인들이 사용하는 의사소통수단은 구어와 비구어를 함께 사용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문가들은 장애성인의 의사소통문제에 대한 중재가 언어이해, 언어표현, 언어사용 영역에서 동시에 이루어져야한다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전문가들은 의사소통문제를 가진 장애성인을 만나면 직·간접적인 방법으로 대상자를 교육 및 치료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장애성인들에게 적절한 언어치료지원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communication disorders and speech and language therapy in adults with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were 125 experts including special teachers, social workers, double license and speech and pathology. Experts perception was measured with questionnaire related to communication disorder. These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analysis, frequency, cross analysis and One-Way ANOVA using SPSS WIN 22.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xperts were aware very highly the need for speech and language therapy services for adult with disability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exper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f speech therapy services in accordance to sociology of population characteristics. Secondly, they think adult with disabilities dont know much about speech therapy services, does not have the appropriate support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for adult with disabilities. Third, experts were aware adult with disability was shown the most difficult in the expression, represent a problem in the conversation, experts were aware the verbal and non-verbal together is most often used in communication on adult with disability. Fourth, experts were aware the most preferred area is language understanding, language expression, in such as the use of language at the same time in mediation for communication disorders of adult with disability. Fifth, experts responded that when experts met adult disorder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experts treating a subject with direct and indirect way. This study imply that there is a need for appropriate support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경희(Jeong, Gyeong-Hee),안성우(Ahn, Seoung-Woo),신창숙(Shin, Chang-Suk). (2015).장애성인의 의사소통문제에 대한 전문가들의 인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8 (2), 163-184

MLA

정경희(Jeong, Gyeong-Hee),안성우(Ahn, Seoung-Woo),신창숙(Shin, Chang-Suk). "장애성인의 의사소통문제에 대한 전문가들의 인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8.2(2015): 163-1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