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he ALS Support System between Korean and Japan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정희경(Chong, Hee-Kyong) 허숙민(Heo, Suk-Min)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8권 제2호, 229~25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4.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ALS환자와 그 가족들에 대한 지원체계를 Gilbert와 Terrell의 산출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양국 지원체계의 차이점을 규명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ALS환자들에 대한 지원을 위해 부양의무자 기준을 축소해야 할 필요가 있다. 중증의 난치성 질환인 ALS환자와 그 가족에 대한 지원은 소득이나 재산이 아니라 중증 및 필요의 정도에 따른 지원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부양의무자 기준을 축소하여 보다 실질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ALS환자에 대한 정확한 실태를 파악하고 이들에 대한 구체적이고 다양한 지원체계와 서비스개발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현재 제공되는 의료중심의 지원이 아닌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의료와 복지가 연계되어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현재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지원체계의 정비가 필요하다. ALS환자에 대한 정부주도의 연구나 임상실험을 활성화할 뿐만 아니라 현재의 희귀난치성 질환 관련 정보와 데이터의 구축을 위해 운영 중인 헬프라인의 기능도 보완하는 등 전달체계의 재정비가 필요하다. 넷째, 지원의 폭은 확대하고 있으나 예산은 감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사회적 합의의 도출을 통해 재정적 지원을 확보하거나, 특별후원금 등을 마련·적립하여 재정적 안정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다섯째, 정책은 당사자들의 목소리가 바탕이 되어 개선되어야 한다. 따라서 당사자의 의견과 ALS협회와 같은 당사자 단체들의 목소리를 통해 정책개선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당사자 단체의 육성과 지원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both countries support systems by analyzing the support systems on ALS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nd to seek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them. The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are; First, it needs to reduce the standard of people who are responsible for dependents for the support of ALS patients. The support of ALS patients which are severe incurable disease and their families should be focused on the degree of severity and necessity rather than their income or property. For this, it should make sure that the actual support is made by reducing the standard of people who are responsible for dependents. Second, it needs to figure out exact current situation on ALS patients and seek for the development of detailed and various support systems and services for them. The combined medical service and welfare should be supplied to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rather than medical centered support that are supplied currently. Third, the support system needs to be arranged as they are happening sporadically. It needs to rearrange the delivery system in activating government oriented studies and clinical tests on ALS patients and supplementing the function of help line which is operated to build the information and data related to rare incurable diseases. Fourth, as it showed that the range of support was expended but the budget was reduced, it is thought that it needs to be secure the financial stability by inducing the social agreement or prepare special support funds. Fifth, the policy should be improved based on voices of parties concerned. Thus, the policy should be improved according to their opinions and voices of groups concerned such as ASL Association and for that, it needs to foster and support of groups concerned.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검토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제언 및 시사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체장애 청소년의 정체성발달과 신체와의 대면
- 보건학 전공 대학생의 장애인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장애인의 문화교육 증진을 위한 심리변인의 확인적 요인분석
- 지체장애 특수학교 학생의 보조공학기기 사용 실태와 교사의 인식
- 중학교 일반교사의 장애낙인에 따른 지도행동의향 분석
- 2011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과학 ‘내용 성취기준’ 적합성 조사 연구
- STEM 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지체장애 청소년의 STEM 영역 지식과 선호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액션러닝을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장애아 부모의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효과
- 뇌성마비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중재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ALS지원제도 한·일 비교연구
- 지체장애 근로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탐색
- 장애성인의 의사소통문제에 대한 전문가들의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Enhancing Learners’ Convergence Competency through VR Design-Based STEAM Education
- Development of A Functional Model for An AIbased Adaptive Learning Platform
-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과정에 대한 시선추적 양상 연구 : 그래픽 노블과 그림책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