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체장애 청소년의 정체성발달과 신체와의 대면

이용수  4

영문명
Identity Development of Adolesc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the Confrontation with Their Own Body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채기화(Chae, Ki-Hwa)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8권 제2호, 253~27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4.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는 자신의 몸과 조화를 이루기 어려운 시대에 살고 있다. 신체에 대한 협애한 표준이 상정되고 그에 따라 신체의 획일화가 가속화되는 사회에서 자신의 신체와 그 신체의 경험은 대상화될 뿐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신체손상이 있는 청소년들이 외부의 부정적 시선 속에서 정체성의 근간이 되는 자기 신체와 어떻게 교류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손상이 있는 자신의 신체와 마주하는 과정에 대한 지원이 왜 필요한지, 그 과정을 어떻게 지원할 수 있을지 논의하였다. 연구결과 신체손상은 정체성에 중대한 위협이 될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인간은 나름의 대처방법을 동원하여 정체성을 유지하고자 한다. 또한 손상과 그에 대한 경험은 사회적 요소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개인의 자서전적 요소에 의해서 지각되고 평가된다. 그렇기 때문에 특히 신체에 대한 평가가 중요한 의미를 갖는 청소년기에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손상과 마주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손상과 관련된 경험을 표현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지원하면 자신의 신체와 보다 조화로운 관계를 맺고, 나아가서 삶에 대한 현실적인 전망을 세울 수 있게 될 것이다.

영문 초록

We live in the time where it is difficult to integrate ourselves with our bodies. Our bodies and experiences are only to be objectified under the circumstances where there are narrow criteria for bodies to meet and where bodies are standardized in a certain way. There were three major topics discussed in this study on adolescents with physical impairment: how adolescents with physical impairment interact with their own bodies, which are the root of their identity, against the negative perception outside, why the adolescents’ confrontation with impaired body should be supported, and how to boost up those interacting activities for students with physical impair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Physical impairment could be critical to one’s identity, however people tried to keep their identity with coping mechanism. The impairment experiences were recognized and assessed through not only social factors but also individual factors. Students at school should have the opportunity to face their impairment, and express their own experiences about their body. They could develop their own ways of coping and build realistic prospect upon their lives while they communicated with other students with impairment. This necessary process was to be widely supported.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신체손상과 정체성
III. 손상이 있는 신체에 대한 자신과 타인의 시선
IV. 손상과의 대면
V.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채기화(Chae, Ki-Hwa). (2015).지체장애 청소년의 정체성발달과 신체와의 대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8 (2), 253-273

MLA

채기화(Chae, Ki-Hwa). "지체장애 청소년의 정체성발달과 신체와의 대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8.2(2015): 253-2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