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학습 읽기 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이용수 226
- 영문명
- Factors influencing primary school teachers’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in social studies classes: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정순(Choi, Jungsoon) 임수연(Yim, Su Y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3호, 1031~104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0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계획된 행동이론에 근거하여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학습 읽기 지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찾아보고 학습 읽기 지도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동 통제 요인과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학습 읽기 지도에 대한 의도 및 행동과의 관계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전국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342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SPSS 19를 이용하여 빈도 분석과 요인 분석을 하였으며, Amos 19를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모델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주관적 규범과 인지된 행동통제는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학습 읽기 지도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지만 태도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는 교사가 학습 읽기 지도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더라도 외부의 압력이나 개인의 능력, 외적 자원이 충분하지 못할 때 읽기 학습 지도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 다. 이 연구결과는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학습 읽기 지도를 강화하기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factors influencing primary school teachers’ behaviour related to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in their social studies classes.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was used as a framework to predict teachers’ behaviour. The main factors of TPB were used in a survey: 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ur control, behavioural intention, and behaviour for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in social studies classes. Survey responses from 342 primary schools teachers across the nation were used to test relationships of five factors. Principal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SPSS19. Confirmatory analysis with Amos 19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research model of this paper. Findings showed that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ur control were significant factors in influencing teacher’s intention to teach reading strategies in social studies classes. Attitude was not an significant factor in teachers’ intention although they showed positive attitudes towards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Perceived behaviour control influenced teachers’ behaviour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The findings imply that there should be systematic support to help teachers implement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in social studies class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정과 연계한 회복탄력성 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 및 자아효능에 미치는 영향
- 예비음악교사의 교직 선택 동기에 관한 탐색
- 대학 모델과(科) 학생이 인지하는 자기결정성과 정서조절, 전공만족도간의 구조적 관계
- 예비유아교사의 프로젝트 접근법 활용
- 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직경력의 조절효과
- 초등학생의 학교폭력 피해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체육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수업 실천 사례연구
- 규칙적인 신체활동이 중학생의 뇌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중등영어교사의 수업 전문성 계발 실태 및 인식조사
- 중년후기의 고독감, 자기자비, 사회적자본과 사회적자기효능감 및 심리적안녕감 간의 구조적 관계
- 2019개정 누리과정 현장 적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 L2 읽기에서의 L1 읽기 이해력과 L2 언어 능숙도의 상호보상효과
- 초등 예비교사와 경력교사의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읽기 양상 비교 분석
- 농어촌 고등학생의 MSCI 진로 집단상담 참여경험에 대한 질적 내용분석
-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한 직업계고 교육 운영 방안
- <오늘이>에 나타난 순수기억의 시간과 생명적 공간
- 전문대 여학생의 직업목표불일치와 학업지속의향의 관계
- 넬 나딩스의 행복교육론이 한국 교육에 주는 시사
- 고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수학 외적 연결성
- 상담자교육 평가모형
- 대학 수업계획서의 설계 실태 및개선방안 탐색
- 서사교육 제재로서 웹툰의 활용 가능성 탐색
- 관계상실경험 대학생의 인지적 유연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직무환경 및 정서지능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이북 창작 동화에 나타난 언어문화 양상 읽어내기
- 신분과 성별에 따른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영역 응시생의 시험치기 전략 사용의 차이
- 청소년 체험활동이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 관계기반 근로자지원교육프로그램(R-EAP)의 구현을 위한 학습자중심 활동방법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
- 교사의 교육과정 분석 현상 탐구
- 팀빌딩을 활용한 핵심기본간호술 프로그램이 임상실습 입문 전 간호대학생에게 미치는 효과
- Covid-19 시대 초등학교 체육 수업에 대한 반성과 미래를 위한 준비
- 은퇴를 앞둔 중등여교사의 자아정체성 재탐색에 관한 연구
- Q방법론을 활용한 심리상담사의 소진에 대한 주관성 연구
- 과학 과목 정의적 영역에서 우리나라 중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초등학생의 대처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과 자기위로능력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어머니의 일-가정 역할갈등이 학령초기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혁신수업 평가방법 및 수업혁신 포트폴리오 평가준거 개발
- 대학생의 진로미결정 예측요인
- 사이버대학 교양체육 학습자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중학생의 친구 및 교사관계와 학업열의 간의 구조적 관계
- 기업 내 교육훈련 전이의 영향요인 및 성과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 영·유아교사의 도덕적 가르침에 대한 소고
- 초등학교 체육교과서에 반영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내용 양상
- 초등교사의 원격수업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대학생의 성인지 감수성 변화 과정 연구
- 초등 도덕과 정보윤리 교육과정 및 교과서 변천
- 박정희 시대 국가주의 교육이념의 형성과 비판적 고찰
- 메이커 활동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창의성 및 정서지능 비교
- 학교운동부지도자 리더십 행동유형과 학생선수의 마인드셋, 운동몰입, 운동지속의 구조적 관계
- 대학 온라인 수업에서의 유학생 만족도와 향후 개선 방안
- 9Gz+ 검사 진입 조종사의 현재와 생도 시절 그릿 관계 분석
- 진로역량 중심의 교과통합형 초등학교 진로 교육과정 및 수업 설계 방안 연구
- 한국과 미국 중학교 교과서의 기하영역 수학과제 비교 분석
- 발달장애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문제행동 대처경험 대한 현상학적 연구
- 대학생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
-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학부모위원의 활동경험과 지원방안에 대한 질적연구
- 음악과 표현 영역의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과정 중심 평가 설계 방안
- ‘놀이 중심 교육과정 전환’ 에 따른 예비유아교사교육에서의 세 가지 쟁점 연구
- COVID-19로 인한 기술교과 원격수업 현황과 기술교사의 인식
-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적용한 ‘유치원 3법’ 정책형성과정 분석
-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학습 읽기 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유아 놀이성이 유아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또래유능성의 매개효과
- 우울과 지연행동(학업, 일반)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국제학업성취도를 통해 살펴본 수학과 과학 교수·학습 환경 탐색
- 플립드러닝 기반 대학 교양영어 수업의 학습 효과,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 및 인식 연구
- 초등학생의 낙관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 아동 정신건강 지원 중재 프로그램 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