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담자교육 평가모형
이용수 630
- 영문명
- An Evaluation Model for Counselor Education: On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CCS-R in South Korea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항(Hang Jo) 김나영(Nayoung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3호, 581~60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0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상담자교육의 학습성과를 측정 및 평가하기 위한 모형을 제안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담자교육에서 학생성과측정의 중요성과 이를 위한 방법 중 하나 로서 상담 역량 평가 척도(CCS-R)를 체계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본척도는 (1) 상담 기술 및 치료조건 (11문항)과 (2) 상담 자질 및 행동(12문항)의 2요 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가자는 상담교육생의 장점과 단점 및 전반적인 수행에 관해 서술형으로 기술한다. 교수자는 본 척도를 학기 단위 및 프로그램 커리큘럼 차원 에서 정기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며, 예를 들어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기간 및상담실습과 인턴십 기간에 사용할 수 있다. 본 평가 모형을 기반으로 상담자 역량 강화와 후속 연구에 관한 제언을 포함하였다.
영문 초록
The current article presents an evaluation model that counselor educators can use in facilitating the growth of counselors-in-training in a systematic way. Specifically, the authors discussed the importance of measuring student learning outcomes and ways to apply it in counselor education programs by using Counseling Competencies Scale-Revised (CCS-R). The assessment has two parts including: (a) counseling skills & therapeutic conditions (12 items) and (b) counseling dispositions & behaviors (11 items). In addition, the evaluators provide narrative feedback including trainees’ strengths and areas for improvement, and comments regarding general performance. Counselor educators are encouraged to use it on a regular basis semester-wise (e.g., mid and final terms) and program-wise (e.g., practicum, internship). Implications a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상담자교육에서 학습성과 측정 및 평가
Ⅲ. 상담 역량 평가 척도(CCS-R)
Ⅳ. CCS-R의 국내 적용 가능성 및 도입과제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정과 연계한 회복탄력성 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 및 자아효능에 미치는 영향
- 예비음악교사의 교직 선택 동기에 관한 탐색
- 대학 모델과(科) 학생이 인지하는 자기결정성과 정서조절, 전공만족도간의 구조적 관계
- 예비유아교사의 프로젝트 접근법 활용
- 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직경력의 조절효과
- 초등학생의 학교폭력 피해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체육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수업 실천 사례연구
- 규칙적인 신체활동이 중학생의 뇌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중등영어교사의 수업 전문성 계발 실태 및 인식조사
- 중년후기의 고독감, 자기자비, 사회적자본과 사회적자기효능감 및 심리적안녕감 간의 구조적 관계
- 2019개정 누리과정 현장 적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 L2 읽기에서의 L1 읽기 이해력과 L2 언어 능숙도의 상호보상효과
- 초등 예비교사와 경력교사의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읽기 양상 비교 분석
- 농어촌 고등학생의 MSCI 진로 집단상담 참여경험에 대한 질적 내용분석
-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한 직업계고 교육 운영 방안
- <오늘이>에 나타난 순수기억의 시간과 생명적 공간
- 전문대 여학생의 직업목표불일치와 학업지속의향의 관계
- 넬 나딩스의 행복교육론이 한국 교육에 주는 시사
- 고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수학 외적 연결성
- 상담자교육 평가모형
- 대학 수업계획서의 설계 실태 및개선방안 탐색
- 서사교육 제재로서 웹툰의 활용 가능성 탐색
- 관계상실경험 대학생의 인지적 유연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직무환경 및 정서지능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이북 창작 동화에 나타난 언어문화 양상 읽어내기
- 신분과 성별에 따른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영역 응시생의 시험치기 전략 사용의 차이
- 청소년 체험활동이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 관계기반 근로자지원교육프로그램(R-EAP)의 구현을 위한 학습자중심 활동방법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
- 교사의 교육과정 분석 현상 탐구
- 팀빌딩을 활용한 핵심기본간호술 프로그램이 임상실습 입문 전 간호대학생에게 미치는 효과
- Covid-19 시대 초등학교 체육 수업에 대한 반성과 미래를 위한 준비
- 은퇴를 앞둔 중등여교사의 자아정체성 재탐색에 관한 연구
- Q방법론을 활용한 심리상담사의 소진에 대한 주관성 연구
- 과학 과목 정의적 영역에서 우리나라 중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초등학생의 대처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과 자기위로능력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어머니의 일-가정 역할갈등이 학령초기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혁신수업 평가방법 및 수업혁신 포트폴리오 평가준거 개발
- 대학생의 진로미결정 예측요인
- 사이버대학 교양체육 학습자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중학생의 친구 및 교사관계와 학업열의 간의 구조적 관계
- 기업 내 교육훈련 전이의 영향요인 및 성과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 영·유아교사의 도덕적 가르침에 대한 소고
- 초등학교 체육교과서에 반영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내용 양상
- 초등교사의 원격수업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대학생의 성인지 감수성 변화 과정 연구
- 초등 도덕과 정보윤리 교육과정 및 교과서 변천
- 박정희 시대 국가주의 교육이념의 형성과 비판적 고찰
- 메이커 활동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창의성 및 정서지능 비교
- 학교운동부지도자 리더십 행동유형과 학생선수의 마인드셋, 운동몰입, 운동지속의 구조적 관계
- 대학 온라인 수업에서의 유학생 만족도와 향후 개선 방안
- 9Gz+ 검사 진입 조종사의 현재와 생도 시절 그릿 관계 분석
- 진로역량 중심의 교과통합형 초등학교 진로 교육과정 및 수업 설계 방안 연구
- 한국과 미국 중학교 교과서의 기하영역 수학과제 비교 분석
- 발달장애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문제행동 대처경험 대한 현상학적 연구
- 대학생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
-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학부모위원의 활동경험과 지원방안에 대한 질적연구
- 음악과 표현 영역의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과정 중심 평가 설계 방안
- ‘놀이 중심 교육과정 전환’ 에 따른 예비유아교사교육에서의 세 가지 쟁점 연구
- COVID-19로 인한 기술교과 원격수업 현황과 기술교사의 인식
-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적용한 ‘유치원 3법’ 정책형성과정 분석
-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학습 읽기 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유아 놀이성이 유아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또래유능성의 매개효과
- 우울과 지연행동(학업, 일반)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국제학업성취도를 통해 살펴본 수학과 과학 교수·학습 환경 탐색
- 플립드러닝 기반 대학 교양영어 수업의 학습 효과,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 및 인식 연구
- 초등학생의 낙관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 아동 정신건강 지원 중재 프로그램 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