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longitudinal Study on the Effect of Self-efficiency on Academic Achievement Mediated with Intrinsic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장희선(Heesun Chang)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33권 제3호, 759~790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경기교육종단연구(GELS: Gyeonggi Education Longitudinal Study)를 활용하여 중학교 1학년에서 3학년으로 성장함에 따라 자기효능감, 내재적조절동기, 학습전략이 학업성취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 중학교 1학년 학생(4차)부터, 중2(5차, 2015년), 중3(6차, 2016년)에 걸쳐 반복적으로 측정된 4,710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변인들의 종단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 내재적조절동기, 학습전략과 학업성취에 대한 잠재성장모형분석 결과, 학습전략을 제외하고, 모든 변인이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감소 추세를 보였다. 둘째, 다변량 잠재성장모형분석 결과,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내재적조절동기와 학습전략이 매개하는 경로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전략, 자기효능감 초기값이 학업성취 초기값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나, 내재적조절동기는 부적영향을 주었다. 학업성취 변화율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기효능감 변화율(정적 영향)이었다. 셋째, 자기효능감 초기값과 학업성취 초기값의 관계, 자기효능감 초기값과 학습전략 초기값의 관계에서 내재적조절동기 초기값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자기효능감 초기값, 변화율과 학습전략의 변화율의 관계에서 내재적조절동기 변화율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해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학습전략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영향관계 궤적을 밝힘으로써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effect of self-efficiency on academic achievement mediated with intrinsic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using GELS(Gyeonggi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From the 4th to the 6th grade of middle school in 2014, 5,374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d multivariate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th the exception of self-efficiency, intrinsic modulator, learning strategy and potential growth analysis for academic achievement, all variables showed a trend of decreasing over time.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ultivariate potential growth model, the path model of self-efficiency on academic achievement mediated with intrinsic regulator motivation, learning strateg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initial value of learning strategy and self-efficacy statically influenced the initial value of academic achievement, but the internal motivation gave a negative effect. The most important that affected the rate of change in academic performance was the rate of change in self-efficiency which had a positive effect. Third, the mediated effect of the initial value of the intrinsic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itial value of self-efficacy and the initial value of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initial value of the self-efficacy and the initial value of the learning strategy was identified. The mediated effect of the rate of change of intrinsic motivation in relation to the initial value of self-efficacy, the rate of change of self-efficacy and the rate of change of learning strategy was identified.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in teaching methods by brightening the trajectory of self-efficiency,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in order to enhance the academic performa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차원 명명반응 모형을 위한 척도연계 방법
- 다분 인지진단모형을 활용한 초등학교 4학년 수학 성취도 국제비교 분석
- 소규모 표본에서 모수 및 비모수적 접근 방법 간 인지요소 패턴 추정의 정확성 비교
- 회귀분석 상황에서 벌점화 추정 기법을 이용한 이상치 탐지방법의 적용 가능성 탐색
- 감점제와 단답형을 도입한 컴퓨터화 변형 선다형 시험 방식이 역행풀이 감소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용 수업의 질 평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중복부하 문항 활용을 위한 통계적 방법 탐색
- 자기효능감, 내재적조절동기, 학습전략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무변화 성장모형의 실재적 정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저출산 고령사회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일본의 고등교육 혁신 방안 : 그랜드디자인 2040 구상
- 전후 일본의 초기 사회과의 교과서 분석 : 소학교 6학년 사회과 지리 영역의 ‘우리들의 생활(4) 기후와 생활(私たちの生活(四) 気候と生活)’을 중심으로
- 日本の小・中学校外国語科の連携 : 検定教科書の異文化題材に注目して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