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Note on a Tangible Definition of No-Growth Model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김수영(Su-Young Kim) 김민주(Minjoo Kim) 서영숙(Youngsuk Suh)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33권 제3호, 681~70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내용 영역 연구자들이 성장모형을 이용하여 종단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첫 단계에 무변화 성장모형(no-growth model)을 사용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무변화 모형을 사용한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모형의 정의를 정확하게 내리지 못하고 모호하게 설명한 경우가 상당히 많았다. 모호하거나 틀리게 서술한 경우를 살펴보면, 기울기의 평균이 0으로 고정되는 선형 성장모형과 무변화 모형을 혼동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실제로 국내의 논문 및 책을 확인한 결과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무변화 모형을 선명하고 정확하게 설명한 경우를 찾을 수가 없었다. 이에 본 논문은 방법론이나 통계학을 전공하지 않은 연구자들도 받아들일 수 있는 수식과 그림을 통하여 무변화 모형을 잠재성장모형의 틀에서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제 자료의 예제를 통하여 무변화 모형의 의미와 쓰임에 대하여 고찰한다.
영문 초록
No-growth models are widely utilized as a first step in longitudinal data analyses. Literature review on existing substantive research about the no-growth model reveals that not many researchers could clearly define the meaning of the no-growth model, although most of them did not make mistakes on the actual estimation process. Many substantive researchers seemed to be confused with two different growth models in the meaning, a linear growth model with a zero constraint on slope mean and the no-growth model. Given the lack of methodological articles or books that explained the exact meaning of the no-growth model in domestic research,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ovide researchers enough information about the no-growth model through equations and figures and to make them have a tangible meaning of the no-growth model. A real data analysis is also provided to better understand the meaning and use of the model.
목차
Ⅰ. 서 론
Ⅱ. 무변화 모형의 이해
Ⅲ. 실제 자료의 적용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차원 명명반응 모형을 위한 척도연계 방법
- 다분 인지진단모형을 활용한 초등학교 4학년 수학 성취도 국제비교 분석
- 소규모 표본에서 모수 및 비모수적 접근 방법 간 인지요소 패턴 추정의 정확성 비교
- 회귀분석 상황에서 벌점화 추정 기법을 이용한 이상치 탐지방법의 적용 가능성 탐색
- 감점제와 단답형을 도입한 컴퓨터화 변형 선다형 시험 방식이 역행풀이 감소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용 수업의 질 평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중복부하 문항 활용을 위한 통계적 방법 탐색
- 자기효능감, 내재적조절동기, 학습전략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무변화 성장모형의 실재적 정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소인수분해 개념 도입의 변화와 교과서 분석: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수능 수학 영역에서 선다형 문항 선지의 측정평가적 기능 검토 및 단답형 확대 제안
- 조건부확률 문제에 대한 구조적·해법적·맥락적 분석: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확률과 통계> 교과서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