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inking Ability Scales Under the Multidimensional Nominal Response Model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김성훈(Seonghoon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33권 제3호, 655~67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탐색적 다차원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 IRT) 모형 중 가장 일반적인 형태인 다차원 명명반응(nominal response: NR) 모형을 위한 공통-문항 척도연계 방법을 제시하고 이 방법의 적절성을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최소제곱(LSQ) 방법과 문항유목반응함수(IRF) 방법의 두 가지 방법을 제시하고 두 방법의 기능을 모의실험을 통해 검토하였다. 모의실험 요인으로 기저 능력분포의 유형, 표본의 크기, 가교 문항의 수 등을 포함하였다. 대부분의 모의실험 조건에서 LSQ 방법은 임의의 다차원 능력척도를 기준 능력척도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는 척도연계 계수(회전행렬과 이동벡터)를 추정함에 있어 IRF 방법보다 열등한 기능을 보였다. 특히 LSQ 방법은 척도연계를 통해 기저 능력분포를 추정할 때 능력 변수의 분산을 상당한 정도로 과소 혹은 과대 추정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비해 IRF 방법은, 가교 문항의 수가 5인 조건을 제외하고, 척도연계를 통해 기저 능력분포의 모수뿐만 아니라 문항 모수 또한 적절히 추정하였다. 논문의 말미에 다차원 NR 모형을 적용한 검사 자료의 분석 과정에서 IRF 척도연계 방법이 어떻게 실시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In item response theory (IRT), the exploratory multidimensional nominal response (NR) model is one of the most general models, from which several dichotomous and polytomous models can be deriv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common-item scale-linking methods for the multidimensional NR model and investigate their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s. For this, the least squares (LSQ) method and the item-category response function (IRF) method were presented and their functions were examined through computer simulations. The simulation study included three factors of (a) type of population ability distribution, (b) sample size, and (c) number of anchor items.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overall, the LSQ method was inferior to the IRF method in estimating the linking coefficients (rotation matrix and translation vector) used to transform an arbitrary multidimensional ability scale to the base scale. In particular, the LSQ method tended to considerably under-estimate or over-estimate the variances of ability variables when recovering the underlying ability distribution through scale linking. On the other hand, the IRF method recovered well the parameters of the underlying ability distribution as well as the item parameters through scale linking. At the end of the paper, a discussion is provided as to how the IRF linking method should be implemented in association with the process of test data analysis based on the multidimensional NR model.
목차
Ⅰ. 서 론
Ⅱ. 다차원 NR 모형을 위한 척도연계 방법
Ⅲ. 모의실험 연구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차원 명명반응 모형을 위한 척도연계 방법
- 다분 인지진단모형을 활용한 초등학교 4학년 수학 성취도 국제비교 분석
- 소규모 표본에서 모수 및 비모수적 접근 방법 간 인지요소 패턴 추정의 정확성 비교
- 회귀분석 상황에서 벌점화 추정 기법을 이용한 이상치 탐지방법의 적용 가능성 탐색
- 감점제와 단답형을 도입한 컴퓨터화 변형 선다형 시험 방식이 역행풀이 감소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용 수업의 질 평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중복부하 문항 활용을 위한 통계적 방법 탐색
- 자기효능감, 내재적조절동기, 학습전략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무변화 성장모형의 실재적 정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교수학 제27권 제2호 목차
- 생산적 수업 담론을 위한 ‘5관행’ 적용 고등학교 수업 실행 연구
- 도형의 닮음 이슈와 과제 변형의 관계 분석: 중등 예비교사의 제1형 딜레마 해결 전략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